
제주특별자치도가 내년 7월에 열리는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유치에 실패했다.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유치 실패에 이어 이번 국제회의 개최도 실패하면서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것인지, 도세(道勢)가 약한 것인지를 놓고 원인 분석과 후속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유네스코 사무총장과 196개 협약국 대표단, 문화유산 전문가 등 3000여 명이 참석하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개최 장소로 부산이 결정됐다.
아시아에서는 태국 푸껫(1994), 일본 교토(1998), 중국 쑤저우(2004), 캄보디아 프놈펜·시엠레아프(2013)에서 세계유산위원회 회의가 열렸다.
한국은 이번 개최가 처음이며, 다음 달 15일 파리에서 열리는 제47차 위원회에서 공표된다.
당초, 제주와 서울, 부산, 경주 4개 도시가 도전한 가운데 제주와 부산이 후보로 올랐고, 부산이 최종 결정됐다.
그런데 부산은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이 한 곳도 없지만 벡스코(국제회의장)와 해운대 인근 숙박시설과 쇼핑몰, 즐길거리 많다는 이유 등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를 인식해 부산은 세계유산 등재에 앞둔 울산 울주군의 ‘반구천 암각화’가 가까운 곳에 있다고 심사자료에 넣었지만 되레 감점요인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는 세계자연유산(한라산·성산일출봉·용암동굴),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지질공원,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이어 세계기록유산까지 유네스코 5관왕을 달성했고, 5성급 숙박시설은 물론 항공편 등 접근성도 좋지만 부산에 밀렸다.
고종석 도 세계유산본부장은 “제주에서 세계유산위원회 회의가 열리면 세계유산축전을 동시에 개최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주요 평가에서 심사위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는데, 세계유산이 없는 부산이 유치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성토했다.
그 이면에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이자 부산 유일의 더불어민주당 3선인 전재수 의원이 ‘뒷심’을 실어줬다는 후문이 나오면서, 유치 도시 선정에 정무적 판단이 개입됐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번 선정 결과를 놓고 부산 벡스코와 해운대 야간광광, 쇼핑몰 등의 세계유산과 연관성이 있는지 여부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개최지로서 높은 점수를 받은 이유와 평가 점수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편, 오는 11월에 열리는 에이펙(APEC) 정상회의에 앞서 제주도는 2009년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와 2010년 한·중·일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사례를 통해 국제회의와 숙박·의전·경호 여건이 완벽하다고 홍보했지만, 유치에 실패했다.
범도민 유치위원회는 정무적인 판단보다는 국익을 위해 제주 개최에 힘을 실어 달라고 정부에 건의했지만, APEC 정상회의 개최지는 경주로 결정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