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3.9℃
  • 맑음서울 16.7℃
  • 맑음인천 17.4℃
  • 맑음원주 16.6℃
  • 맑음수원 16.2℃
  • 맑음청주 17.7℃
  • 맑음대전 17.0℃
  • 맑음포항 19.4℃
  • 맑음대구 17.9℃
  • 맑음전주 17.6℃
  • 맑음울산 18.0℃
  • 맑음창원 17.5℃
  • 맑음광주 15.0℃
  • 맑음부산 18.0℃
  • 맑음순천 9.4℃
  • 맑음홍성(예) 15.5℃
  • 맑음제주 16.2℃
  • 맑음김해시 16.4℃
  • 맑음구미 16.5℃
기상청 제공
메뉴

(매일신문) KT, 과거 '먹통' 때마다 상당경우 무보상…이번에는 어떻게?

당초 외부요인 '디도스 공격' 지목했다가 내부요인 '라우터 오류'라고 번복
SKT, LG유플러스와 달리 KT는 상당 경우 '무보상'…2018년 아현지사 화재 땐 보상

 

먹통 사태를 겪은 KT가 '디도스(DDOS) 피해'라는 석연찮은 해명으로 "책임 회피" 논란을 빚은 가운데, 이번에도 과거처럼 '무보상 정책'으로 일관할 지 소비자 이목이 쏠리고 있다.

 

2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KT의 유·무선 통신망은 이날 오전 11시를 조금 넘긴 시각부터 전국적 규모의 통신 장애를 일으키다가 40여 분 뒤에야 복구됐다.

 

이로 인해 KT의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이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했다. KT 통신망을 통해 운영되는 여러 대형 사이트도 일제히 접속 불가 상태에 빠졌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산업계 전반에도 마비 현상이 나타났다.

 

증권사 홈트레이딩 시스템(HTS)과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도 먹통이 됐고 식당·상점 등 매장에서는 신용카드 결제가 불가능했다. 국내 최대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 경우 점심식사 포장·배달 주문이 한창인 시간대에 주문을 접수하지 못하는 피해를 겪었다.

 

KT 회선을 이용하는 기업 고객들이 SK브로드밴드와 LG유플러스로 우회하면서 유선 인터넷 속도 전체도 영향을 받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일반 고객들도 인터넷 속도 저하로 불편을 호소했다.

 

당초 KT는 "오전 11시쯤 KT 네트워크에 대규모 디도스 공격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KT 위기관리위원회를 즉시 가동해 신속 조치 중"이라고 밝혔다. 회사 문제가 아니라 외부 제3자가 고의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트래픽 과부하 공격'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수 시간 뒤 KT는 "라우터(네트워크 경로설정) 오류가 발생했다. 정부와 함께 더욱 구체적인 사안을 조사하고, 파악대는 대로 추가설명하겠다"며 앞선 발표를 번복했다.

 

일각에선 KT가 관리하는 라우팅 테이블이 내부 원인에 의해 유실되거나 세팅값 오류를 일으켰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라우팅 테이블이란 네트워크 상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하는 데이터들의 이동 거리와 경로를 정해 둔 일종의 내비게이션이다.

 

라우팅 테이블이 망가지면 데이터는 목적지를 알아도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길을 잃은 채 허공에서 맴돌고 만다. 이는 주로 시스템 관리 권한이 있는 내부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자체 책임의 가능성이 있다.

 

 

사고 원인이 '외부 공격'이 아닌 '내부 오류'로 드러난 만큼 이용자들은 각자 입은 피해에 대해 보상이 이뤄지길 바라는 눈치다.

 

다만 KT가 어떤 보상책을 내놓을 지는 미지수다. 앞서 비슷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여타 통신사와 달리 유독 KT만은 별다른 보상 관련 대응을 하지 않았다는 점도 이용자들로 하여금 '사실상 포기' 반응을 불러 오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2014년 가입자 위치확인 시스템 과부하로 고객 560만 명이 6시간 동안 음성, 데이터 먹통에 처하자 430억원을 보상했다. 2018년 4월에도 2시간 반 동안 자사 LTE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 서비스 불통 사태가 발생하자 피해 고객 730만명에게고객들에게 220억원 보상을 단행했다.

 

LG유플러스도 2017년 9월, 10월 연이어 문자와 음성·데이터, 데이터 순으로 통신장애를 일으켰다. 각 시기 160만명, 130만명이 피해를 입자 LG유플러스는 하루치 데이터 요금을 보상했다.

 

이와 달리 KT는 2007년, 2008년, 2011년 등 통신 장애가 발생했지만 많은 경우 무보상으로 일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2018년 11월 KT 아현지사 지하에서 화재가 발생해 일대 통신 장애가 발생했을 때는 70억원 규모 보상금을 지급한 바 있다.

 

올해 기준 KT 이용약관에 따르면 KT는 이동전화와 초고속인터넷, IPTV 등의 서비스 가입 고객이 본인의 책임 없이 연속 3시간 이상 서비스를 받지 못하면 손해배상 의무를 지닌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KT 보상 기준이 '연속 3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할 경우'인 만큼 통신장애 시간이 그에 못 미친 이번 사태는 보상 기준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