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가 미륵사지 내 가마터 보호각을 새롭게 단장해 3일 일반에 공개했다. 이번 사업은 정부혁신이자 적극행정을 위한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의 일환으로, 시는 가마터 보호각의 색과 재질이 유적과 이질감이 있다는 의견을 반영해 기존 철 구조물을 이용해 현대적이면서 단순한 모양으로 교체했으며 관광객 편의를 위해 화장실도 설치했다. 새로 단장한 보호각은 기존의 벽과 지붕을 없앤 후 진회색의 금속판으로 건물 전체를 감싸게 하고 근처에 소나무를 심어 유적 경관과 조화를 이루게 했다. 또 난간과 금속 창살은 커다란 투명 유리창으로 교체하고 전시 소개 안내판도 설치해 가마의 모습도 더 정확히 관람할 수 있도록 했으며 가마의 보존을 위해 환기시설도 보완했다. 익산 미륵사는 백제 무왕대(600~641년)에 창건돼 1600년대까지 유지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당 가마터는 조선시대 기와 가마터로 미륵사에서 기와를 자체 공급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파악됐다. 시 관계자는 “관람객들이 문화재를 더 편리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 확충에 힘쓰겠다”며 “문화재 보호시설이 문화재 고유의 성격을 유지하면서 관람에 도움이 되도록 디자인 구성에 반영하고 설치 등에도 각별히 주의를
익산 왕궁 정착농원 현업축사 매입을 둘러싼 보다 강력하고 현실적인 특단의 해법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 새만금 수질개선을 위한 2010년 정부부처 합동 왕궁 환경개선 종합계획 수립 이후 10년이 지났지만 익산 왕궁 정착농원 특별관리지역 돼지 사육두수는 여전히 7만여마리로 감소율이 불과 38.6%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익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왕궁 정착농원 특별관리지역(익산·금오·신촌농장)의 돼지 사육두수는 7만여마리로, 2010년 12월 11만4000여마리 대비 4만4000마리 감소에 그쳤다. 여기에 특별관리지역에 포함되지 않은 인근 학호마을에도 2만여두가 사육되고 있다. 이처럼 현업축사 매입 및 사육두수 감소가 지지부진하면서 새만금 및 만경강 수질개선과 악취 저감 등 환경문제 해결은 아직 요원한 상태다. 한센인 농가가 아닌 기업형 사료업체나 외지 업체들의 대규모 위탁사육과 일부 축산농가의 매도 기피 등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7~8개 사료업체들의 위탁사육이 여전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축산농가가 자가사육 증명서류(사료구매 영수증, 출하증명서 등)를 제출할 경우 위탁사육임을 확인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고, 이 틈을 이용한 대규모 사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