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8기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정은 도시와 농촌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간 중심에서 시간 개념의 생활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제주의 특성에 맞는 ‘15분 도시 제주’를 공약했다.
제주도민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것으로 도민사회에서는 15분 도시 제주 관련해 명확한 개념을 세운 뒤에 추진하지 않으면 자칫 제주도가 실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는 등 용역을 통해 수립될 기본구상과 추진 방향에 관심이 모아진다.
▲15분 도시 제주 조성=15분 도시는 프랑스 소르본 대학의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주창한 새로운 도시 구조 패러다임으로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 15분이면 의료·교육·문화·쇼핑·금융·직장 등 일상생활의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다핵화된 도시를 말한다.
제주도는 지난해 8월 15분 도시 제주플랜 워킹그룹을 구성해 운영했고, 올해 2월부터 제주연구원에 의뢰해 기본구상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이달 중 용역 중간보고회가 개최될 예정이며, 연말 기본계획에 대한 윤곽이 나온다. 내년에는 4개 지역에서 시범사업이 진행될 계획이다.
전 세계적으로 n분 도시를 추진하고 있는 도시들은 주로 대도시들인데 반해 제주는 도시화 돼 있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지역, 그리고 읍면 농어촌 지역이 공존하고 있어 제주만의 특성을 살린 계획 수립이 필수다.
15분 도시 정책은 시설 공급 및 재배치, 이동수단 개선 등을 통해 읍·면지역 주민의 필수기능(서비스) 접근성을 어떻게 향상시킬지가 최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상장기업 20개 육성·유치=오영훈 지사는 임기 중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도내 7개인 상장기업을 20개로 늘리겠다고 공약했다.
제주 이주, 투자를 희망하는 상장기업과 도내 상장을 추진하는 유망기업 등에 정책적으로 뒷받침해 청년들이 제주에서 마음껏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의지다.
제주도는 지난달 상장기업 육성 지원사업의 혜택을 받을 기업을 최종 선정하고, 단계별 지원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네이처모빌리티(모빌리티 플랫폼) 등 10개 기업에 대한 지원이 확정됐고, 내년 상반기 코스닥 예비상장 신청 절차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상장사를 포함한 다른 지방 기업 유치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제주도는 현재 IT·게임 업종 3개사와 제조업 2개사 등 5개 기업과 협약을 맺고, 본사를 제주로 이전하는 방안을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 중이다.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기반 조성=제주도는 지난해 9월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 계획’을 발표한데 이어 올해 1월에는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위한 ‘제주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을 발표했다.
감염병 팬데믹과 기후 위기를 넘어 지속가능한 제주, 에너지 자립이라는 주권을 확보하면서 ‘그린수소사회’로 나아가는 미래의 청사진이다.
제주도는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에 3㎿급 그린수소 생산 및 저장 실증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제주도는 지난달 16일 행원리 현지에서 3㎿ 그린수소 생산시설에서 현장설명회 개최됐고, 조만간 실제 상업 운전이 개시된다.
수전해 기반의 그린수소 생산 시설을 구축하는 이 사업에는 총 222억원이 투입돼 4778㎡ 부지에 수전해, 버퍼탱크, 튜브트레일러 등 시설이 구축됐다. 최대 생산 능력은 1일 수소 1t 규모다.
이와 함께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일원 도유지에 12.5㎿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도 추진된다. 이 사업은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공모사업에 선정된 사업으로 정부 출연금 296억원과 민간 324억원 등 총 620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다만 지난달 제주도의회에서 ‘공유재산 영구시설물 축조 동의안(12.5㎿ 그린수소 실증사업)’이 주민 수용성 부족을 이우로 심사가 보류됐다. 주민 수용성 확보가 과제로 떠올랐다.
이외에도 오영훈 도정의 농업분야 제1공약인 ‘제주농산물수급관리연합회’ 설립이 가시화하고 있다. 최근 창립총회가 열려 정관 제정과 임원 선출이 완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