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14.4℃
  • 맑음서울 8.5℃
  • 맑음인천 8.0℃
  • 맑음원주 9.4℃
  • 맑음수원 6.4℃
  • 맑음청주 8.3℃
  • 맑음대전 10.2℃
  • 맑음포항 16.2℃
  • 맑음대구 11.0℃
  • 맑음전주 7.9℃
  • 맑음울산 14.8℃
  • 맑음창원 11.6℃
  • 맑음광주 8.6℃
  • 맑음부산 12.5℃
  • 맑음순천 4.3℃
  • 맑음홍성(예) 8.2℃
  • 맑음제주 16.3℃
  • 맑음김해시 12.2℃
  • 맑음구미 8.7℃
기상청 제공
메뉴

(대전일보) 가계부채 1862조 또 최대 기록… 지난해 134조 원 이상 불어

한은 2021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2021년 한 해만 134조 불어나… 2016년 이어 두 번째 증가폭

 

 

지난해 말 가계빚이 1862조 원을 넘어서며 또 다시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가계대출 총량 규제, 대출금리 인상 등으로 전체 가계 빚 증가폭은 전분기보다 크게 둔화됐지만 1년 새 134조 원 이상 불어나면서 역대 2번째 증가폭을 기록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62조 1000억 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19조 1000억 원 증가했다. 가계신용은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에 카드사와 백화점 등의 판매신용을 더한 액수다.

 

앞서 지난해 3분기 말 국내총생산(GDP)에서 가계빚이 차지하는 비중은 91.2%로 집계된 바 있다. 이후 가계빚 증가세가 이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지난해 4분기 말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0%를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가계빚 연간 증가폭은 134조 1000억 원으로 전년(127조 3000억 원) 증가폭보다 확대됐다. 이 같은 증가폭은 2016년(139조 4000억 원) 이후 5년 만에 최대다. 2002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로 보면 역대 2위 증가폭이다.

 

지난해 가계빚은 상반기까지만 해도 주택 매매와 전세자금 수요, 주식 등 자산 투자 수요로 크게 늘었지만 하반기 들어서면서 증가세가 둔화했다. 기준금리 인상과 가계대출 규제 등의 영향이다.

가계신용에서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1755조 8000억 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13조 4000억 원 늘어 사상 최대치를 찍었다. 다만 지난해 3분기(34조 7000억 원)보다 증가폭은 축소됐다. 2020년 말과 비교해선 1년 만에 123조 8000억 원 증가했다.

 

가계대출을 상품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은 지난해 말 기준 982조 4000억 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13조 4000억 원 증가했다. 이는 주택 거래가 둔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2019년 4분기(12조 6000억 원) 이후 2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폭이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71조 8000억 원 늘면서 1년 전(67조 8000억 원)보다 증가폭이 4조 원여 확대됐다.

 

신용대출과 마이너스 통장 등 기타대출은 773조 4000억 원으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기타대출 증가세가 주춤한 것은 2014년 1분기 이후 7년 9개월 만이다. 기타대출은 2014년 1분기 8000억 원 감소한 뒤 줄곧 증가해 왔다. 전기동기와 비교하면 52조 원 늘었다.

 

zmz1215@daejonilbo.com  정민지기자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