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정부가 최근 4대강 재자연화 의지를 천명했지만, 낙동강 합천보·함안보 취·양수시설 개선 사업이 절반 이상 설계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업 기간도 확정되지 않아 현 정부 임기 내 보 개방이 가능할지는 불투명하다.(8월 12일 5면)
보 개방을 위해서는 취·양수시설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보가 열리면 강 수위가 최대 2m가량 낮아지는데, 현재 취수구 위치가 높아 수위 하강 시 물 공급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 때부터 취·양수시설을 낮추는 공사가 추진돼 왔다.
경남 합천창녕보와 창녕함안보에만 10곳의 취·양수시설 개선이 필요하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함안보 6곳 중 4곳은 공사 중이고 2곳은 설계 단계에 있다.
합천보는 4곳 중 3곳이 설계 단계이며, 나머지 1곳은 행정 절차가 진행 중으로 아직 설계조차 시작되지 못했다. 미착수 구간의 경우 환경부는 2026년 이후 설계 착수를 기대하고 있다.
사업 기간에 대해서는 “시설별·지자체별 사정이 달라 확답하기 어렵다”는 게 환경부의 입장이다.
환경단체들은 설계가 완료되더라도 보 개방이 원활할지 의문을 제기한다. 일부 보에서 개선이 이뤄져도 연계된 물 관리 시스템상 모든 보를 상시 개방하기는 쉽지 않다는 이유다.
현재 낙동강에서 개선이 필요한 취·양수시설은 50곳이 넘지만, 사업이 추진 중인 곳은 16곳에 불과하다.
한강 7곳, 영산강 10곳, 금강 0곳과 비교해 낙동강이 가장 많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지난주 금강 세종보를 찾아 “재자연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2026년도 관련 예산은 830억원에 그쳤다.
문재인 정부가 추산한 취·양수장 구조개선 비용 9000억원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은 “환경부는 설명회 등을 통해 임기 말까지 취·양수 시설을 개선하겠다고 밝혔지만, 문재인 정부 당시에도 추진이 진행되다가 중반부터 무산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재자연화 약속을 믿을 순 없다”며 “2027년도 여름 영남권 주민을 녹조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서는 내년 예산을 대폭 투입해 속도전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의 조류경보는 5주째, 칠서 지점은 4주째 ‘경계 단계’를 이어가고 있다.
함안군 칠서면과 창녕군 길곡면의 창녕함안보 수문을 통해 초록빛 낙강물이 방류되고 있다./경남신문 DB/
함안군 칠
속보= 정부가 최근 4대강 재자연화 의지를 천명했지만, 낙동강 합천보·함안보 취·양수시설 개선 사업이 절반 이상 설계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업 기간도 확정되지 않아 현 정부 임기 내 보 개방이 가능할지는 불투명하다.(8월 12일 5면)
보 개방을 위해서는 취·양수시설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 보가 열리면 강 수위가 최대 2m가량 낮아지는데, 현재 취수구 위치가 높아 수위 하강 시 물 공급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 때부터 취·양수시설을 낮추는 공사가 추진돼 왔다.
경남 합천창녕보와 창녕함안보에만 10곳의 취·양수시설 개선이 필요하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함안보 6곳 중 4곳은 공사 중이고 2곳은 설계 단계에 있다.
합천보는 4곳 중 3곳이 설계 단계이며, 나머지 1곳은 행정 절차가 진행 중으로 아직 설계조차 시작되지 못했다. 미착수 구간의 경우 환경부는 2026년 이후 설계 착수를 기대하고 있다.
사업 기간에 대해서는 “시설별·지자체별 사정이 달라 확답하기 어렵다”는 게 환경부의 입장이다.
환경단체들은 설계가 완료되더라도 보 개방이 원활할지 의문을 제기한다. 일부 보에서 개선이 이뤄져도 연계된 물 관리 시스템상 모든 보를 상시 개방하기는 쉽지 않다는 이유다.
현재 낙동강에서 개선이 필요한 취·양수시설은 50곳이 넘지만, 사업이 추진 중인 곳은 16곳에 불과하다.
한강 7곳, 영산강 10곳, 금강 0곳과 비교해 낙동강이 가장 많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지난주 금강 세종보를 찾아 “재자연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2026년도 관련 예산은 830억원에 그쳤다.
문재인 정부가 추산한 취·양수장 구조개선 비용 9000억원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은 “환경부는 설명회 등을 통해 임기 말까지 취·양수 시설을 개선하겠다고 밝혔지만, 문재인 정부 당시에도 추진이 진행되다가 중반부터 무산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재자연화 약속을 믿을 순 없다”며 “2027년도 여름 영남권 주민을 녹조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서는 내년 예산을 대폭 투입해 속도전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의 조류경보는 5주째, 칠서 지점은 4주째 ‘경계 단계’를 이어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