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4·3기록물의 안전한 장기 보존과 활용을 위해 국가기록원과 협력해 과학적 보존 처리와 디지털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제주4·3기록물은 진실 규명과 화해의 과정을 담은 1만4673건의 역사적 기록을 담고 있다. 군법회의 수형인 명부와 옥중 엽서(27건), 희생자와 유족들의 생생한 증언(1만4601건), 시민사회의 진상규명 운동 기록(42건), 정부의 공식 진상조사보고서(3건) 등이 있다.
하지만 자료 상당수가 지류와 영상, 자기테이프 등 손상 위험이 큰 매체이고, 일부 기록물은 생산된 지 50년이 넘어 변질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와 재단은 기록물의 원형 보존을 위한 과학적 보존 처리와 디지털화를 병행하는 체계적 관리 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보존 처리는 매체 특성과 훼손 상태를 고려해 지류 기록물의 탈산 처리, 중성필름 삽입과 중성상자 보관을 통한 장기 안정성 확보, 곰팡이와 해충 피해 예방을 위한 소독 및 살균 등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제주도는 이를 통해 기록물의 영구적 보존과 복원 가능성을 확보하고, 미래세대에 온전히 전승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특히 이달부터 기록물의 보존 가치를 고려해 중앙기록물 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과 협력한 첫 보존 처리가 추진됐다.
제주도는 국가기록원과 함께 형무소에서 온 엽서 25점의 상태를 점검하고, 잉크 번짐 등 훼손 자료의 디지털 복원 방안과 4·3위원회 채록 영상 등 비디오테이프 3점에 대한 장기 보존 포맷 전환 등을 협의했다.
이 중 ‘형무소에서 온 엽서’ 복원은 국가기록원의 디지털 복원 대외 지원 첫 사례로 오는 9월 완료될 예정이며, 복원된 기록물은 향후 디지털 전시 등 전시 콘텐츠로 활용된다.
희생자와 유족의 증언과 당시 피해 상황을 담은 도의회 4·3피해신고서의 경우 훼손도가 높은 기록물에 대해 문화유산국민신탁 기부금을 활용해 보존 처리를 하고 있고, 그 외 기록물에 대해서는 연차별로 보존 처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세계기록유산으로서 4·3기록물의 가치를 널리 확산하기 위해 장기 보존계획도 수립한다.
훼손이 심각한 자료부터 우선 복원하고, 국내외 전문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교육과 전시 활용을 확대하는 한편,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대중이 쉽게 접하고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김인영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제주4·3기록물은 미래세대가 성찰해야 할 인류 보편의 역사 유산”이라며 “국가기록원과 협력해 기록물을 영구 보존하고, 대중의 접근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