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광주일보) 신세계 신축·확장 사업…“광주시, 투자행정 대전서 배워야”

건축·도시·경관·교통 4가지 통합 심의로 인허가 대폭 단축
지역 내 반대 여론 적극 중재…신속한 행정 대형 쇼핑몰 유치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광주신세계 신축 확장사업이 좌초되지 않고, 제 속도를 내기 위해선 대전시의 신속한 투자 행정을 롤 모델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전시는 대형 쇼핑몰 유치를 위해 분산돼 있는 각종 인허가 절차를 통합 심의하는 등 행정절차를 대폭 단축하고, 시민 민원에도 적극 대응하는 등 적극 행정을 통해 ‘대전 신세계’ 유치에 성공,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동력원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2015년 악성민원에 발목이 잡혀 대전에 ‘백화점 신축 사업’을 빼앗겼던 광주 신세계측은 지난해 11월 광주시에 다시 한번 1조원 규모의 랜드마크 조성 계획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악성 민원과 더딘 인·허가 절차 등 사업 추진을 가로막는 상황이 되풀이 되고 있다.

광주시와 달리 2015년 당시 대전 신세계를 유치한 대전시의 ‘투자행정’ 노하우를 들여다봤다.

10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2014년 대전시는 90년대 대전엑스포 개최 이후 나대지로 방치된 유성구 도룡동 과학공원 부지에 과학체험·문화·상업시설을 갖춘 사이언스몰 등을 세우는 ‘사이언스 콤플렉스’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사업 성공을 위해서는 대형 쇼핑몰 유치가 필수였지만, 대전은 대형 쇼핑몰이 몰려있는 수도권과 가까운 지리적 특성 등이 ‘악재’로 작용하면서 대규모 투자 유치가 쉽지 않은 상황으로 내몰렸다.

 

반면 같은 시기 호남권에 대형 쇼핑몰이 단 한 곳도 없던 광주시는 광주 신세계측의 적극적인 구애를 받고 있었다. 광주 신세계는 특급호텔과 함께 복합쇼핑몰 건립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지만, 금호월드 등 일부 상인 반대와 정치권 반대 등이 발목을 잡았다.


결국 신세계그룹은 광주 대신 대전에만 대규모 복합 쇼핑몰 건립을 결정했고, 대전시의 ‘사이언스 콤플렉스’ 우선협상대상자에 ㈜신세계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신세계그룹은 이후 대전에 5596억 원을 투입해 지하 4층·지상 43층 규모의 호텔, 백화점, 과학관·수족관·스포츠 시설을 갖춘 ‘대전신세계 아트&사이언스’를 신축했는데, 현재 충청권을 넘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당시 대전에서도 광주처럼 대형 쇼핑몰 신축을 반대하는 여론이 만만치 않았다고 한다.

‘아쿠아리움’ 논쟁이 대표적이다. 현재는 ‘대전신세계 아트&사이언스’ 내 들어선 아쿠아리움이 수많은 관람객을 불러 모으고 있지만, 사업 추진 당시만 해도 대전에서 아쿠아리움을 운영하던 사업자의 강한 반발이 지속됐다. 결국 대전시가 해결사로 나섰고, 적극적인 중재와 설득을 통해 사업자간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대전지역 상인단체의 반대도 거셌다. 특히 지역 상인들은 대전 신세계 착공 이후 진행한 ‘대규모 점포 등록’ 단계에서도 중소기업중앙회에 ‘사업조정’을 신청하는 등 반대 목소리를 이어갔다.

사업조정은 정부가 사실 조사와 심의를 거쳐 대기업에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제도로, 대전시는 다시 한번 상인들을 설득하고 중기청과 협의 및 중재에 나서 정상적인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사업자를 도왔다.

신세계그룹도 화답 차원에서 대전시에 상생 기금 80억 원 등을 내놓는 방식으로 지역사회와의 갈등 봉합에 적극 나섰다.

대전시는 내부적으로도 인·허가 절차 하나 하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행정절차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는 방식으로 빠른 사업 추진에 힘을 보탰다. 실제 대전시는 대전 신세계 건립과 관련해 건축, 도시, 경관, 교통 등 4가지를 통합 심의해 인·허가 기간을 대폭 단축했다.

반면 광주신세계의 경우 지난해 11월 다시 한번 광주시에 9000억원 규모의 광주 대표 랜드마크 조성계획을 신청했지만, 민원 등을 이유로 1년 가까이 행정절차가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나마 지난달 25일 강기정 광주시장이 ㈜광주신세계 백화점 확장 이전과 관련해 “민원과 행정 절차를 분리하고, 10월 중순 내로 도시계획·건축 공동위원회를 열어 지구단위계획 변경 절차를 마무리 하겠다”고 밝힌 이후에야 일부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하지만 강 시장의 말처럼 오는 13일로 예정된 공동(건축·도시)심의위원회 절차가 잘 마무리된다고 해도 여전히 교통, 경관 심의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인·허가 절차는 넘쳐난다는 점에서, 사업자측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금리 인상과 원자재값 상승 등 국·내외적인 경기 악화 상황이 겹치면서, 그동안 공격 경영에 나섰던 신세계그룹마저 최근 긴축 경영으로 방향을 선회했기 때문이다.

유통업계에선 광주시가 악화하는 투자유치 환경을 딛고 대전처럼 대규모 투자행정에 성공하기 위해선 대전시의 ‘신속한 합의 행정’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광주와 대전의 차이점은 투자 기업을 지역에 유치하려는 의지력과 신속한 행정 결정 방식 등에 있다”면서 “대전시는 대전신세계 유치 이후 ‘투자자에 긍정적인 자치단체’라는 이미지까지 얻을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대형쇼핑몰 유치를 희망하는 광주시가 참고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