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경남신문) “지하차도 참사 막으려면 자동차단시스템 구축 필요”

도내 52곳 중 35곳 차단시설 없어… 굴다리 등 규모 작은곳 포함 안돼

14명 사망한 ‘오송 지하차도 참사’
3년 전 부산 초량 사고와 닮은꼴

도내 52곳 중 35곳 차단시설 없어
굴다리 등 규모 작은곳 포함 안돼

침수우려 지하차도 차단시설 필수
현장통제·대응 등 매뉴얼 갖춰야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의 참사 재발을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지하차도의 차량 진입을 원천 차단하는 등 자동차단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 제2지하차도에서는 지난 15일 오전 8시 40분께 인근 미호강이 범람하면서 유입된 하천수로 시내버스 등 차량 10여 대가 물에 잠겨 고립됐다.

 

18일 오전 기준 확인된 사망자는 14명이다. 이번 참사를 두고는 위험도로에 대한 차량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인재라는 지적이다. 길이 430m의 지하차도 터널은 2~3분 만에 6만t의 물이 가득 찼던 것으로 알려졌다. 오송지하차도의 경우 자동차단시설이 구축돼 있지 않은 데다 현장 대응 매뉴얼도 허술했던 점이 문제로 꼽힌다.

 

이번 참사는 3년 전 발생한 ‘부산 동구 초량1 지하차도 침수 사고’와도 닮은꼴이다. 2020년 7월 23일 부산에 시간당 최대 81.6㎜의 호우가 쏟아졌을 때 초량1 지하차도를 지나던 차량 6대가 순식간에 밀려든 물에 잠겨 3명이 숨졌다. 행정안전부에서 침수 우려 지하차도에 대한 자동차단시설 도입을 추진했지만 여태 모든 지하차도에는 설치가 되지 않았다.

 

 

경남도에 따르면 18개 시·군 전체 지하차도는 52개소다. 이 가운데 자동차단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지하차도는 35개소다. 도에서 시·군을 통해 받은 위험도가 큰 침수 우려 지하차도의 경우 34개 정도 되지만 이마저도 절반가량 자동차단시설이 설치되지 않았다.

 

특히 도의 통계 말고도 시·군별로 이른바 굴다리 등 규모가 작은 지하차도를 포함하면 도내 전체 지하차도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지하차도는 아직 다 집계도 되지 않았다.

 

창원시의 경우 굴다리 등을 포함한 지역 내 지하차도는 20개소로 파악된다. 20개소 중 차량의 진입을 막는 등 자동차단시설이 설치된 곳은 소계동, 용원동, 명곡동, 팔룡동 등지의 지하차도 7개소에 불과하며, 2개소는 설치 예정이다. 차단시설이 설치된 7개소 가운데 자동은 5곳, 수동은 2곳이다.

 

문제는 지하차도에 자동차단시설이 설치돼 있더라도 작동을 시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점이다.

 

지자체별로 자동차단시설을 갖추고 있어 시스템상 통제소에서 작동할 수 있더라도 사고 우려 등 위험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현장에선 차량 통제를 먼저 진행한 뒤 자동차단시설을 작동해 차량 진입을 막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시·군별로 언제 자동차단시설을 작동시킬지 여부는 침수 수위에 따라 상황을 지켜보는 등 자체 판단에 맡겨진 상황이다.

 

도내 한 도로과 공무원은 “현재 자동차단시설을 설치하고는 있지만 사고 우려로 공무원이 현장에서 차량을 통제한 뒤 시설을 작동하고 있다”며 “현장을 나간다 하더라도 갑자기 물이 불어나는 경우 등에는 예상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전했다.

 

창원시 건설도로과 관계자는 “아무래도 규모가 작은 지하차도는 침수 시설이 다 갖춰져 있지 않아 현장에서 상황 판단이 필요하다. 5개 구청에서 상시 순찰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하차도의 경우 배수시설 등을 강화해도 구조상 갑작스러운 유량 증가에 취약할 수밖에 없어 공무원들이 현장에 나간 뒤 대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남기훈 창신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지하차도는 사실 대비책이 있는 것은 아니다. 차단하는 방법이 가장 좋다. 사람이 가서 막으면 늦기 때문에 자동차단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다”며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공유가 되기 때문에 지자체와 경찰, 소방 등이 유기적인 협조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시스템에 맞는 매뉴얼이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기사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