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낙동강 권역 부산·경남 가정 수돗물에서 녹조 독성 물질 검출”

환경단체, 영남지역 수돗물 분석
6곳에서 마이크로시스틴 확인
“장기간 노출 시 건강 문제 유발”
환경부 “검출된 적 없다” 즉각 반박
부산시 “식수 다변화 대책 집중”

 

 

부산 등 낙동강 권역의 수돗물에서 녹조 독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환경단체의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고도정수 처리 뒤 녹조 독소 물질은 모두 제거된다는 환경부 입장과 배치되는 것으로, 상당한 논란과 파장이 예상된다.

낙동강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 등은 최근 한 달여간 영남 지역 수돗물을 분석한 결과, 부산 1곳을 포함해 모두 6곳에서 녹조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기간은 지난달 14일부터 지난 25일까지이며, 조사 대상은 일반 가정 22가구(부산 6곳·경남 9곳·대구 5곳·경북 2곳) 수돗물이었다. 시료 분석은 부경대 식품과학부 이승준 교수팀이 효소면역측정법(ELISA)으로 진행했다.

 

부산의 경우 수영구 한 가정집 수돗물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0.061ppb 검출됐다. 세계보건기구(WHO) 음용수 마이크로시스틴 기준인 1ppb엔 못 미치지만, 미국 캘리포니아주 환경건강위험평가국 음용수 기준(0.03ppb)의 2배를 넘는 것으로 장기간 노출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게 환경단체의 설명이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남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로, 간과 남녀의 생식 기능 등에 악영향을 준다.

 

경남 창원시 진해구 두 곳에서도 각 0.175ppb와 0.092ppb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경남 김해시 내동 검출량은 0.056ppb, 대구 수성구는 0.064ppb, 대구 동구는 0.051ppb였다.

 

환경단체들은 올여름 낙동강을 뒤덮은 녹조가 가정에까지 직접적인 위협을 주게 됐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했다. 특히 고도정수처리된 수돗물은 안전하다는 당국의 주장을 더는 신뢰하기 어렵게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단체들은 “오늘 영남의 가정집 수돗물에서까지 녹조 독이 검출된 결과를 얻고 보니 경악을 넘어 공포로 다가온다”며 “국가가 한 일이라곤 ‘고도정수처리를 하니 괜찮다. 녹조는 100% 걸러진다.

그러니 안심하라’ 단지 그말 뿐이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달 초 낙동강 보 수문을 열자 녹조량이 급격히 줄어든 것을 언급하며 “녹조가 창궐한 후 수문을 여는 것이 아니라 녹조가 창궐하기 전에 수문을 열어 놓는다면 낙동강에서 녹조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부산·경남·대구의 수돗물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된 적은 없다며 즉각 반박 입장을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23일과 24일 부산 화명·덕산, 경남 마산칠서 등 영남 일대 10개 정수장 수돗물을 환경부 고시에 규정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LC-MS/MS법)’과 환경단체에서 사용한 ELISA법으로 분석한 결과 모두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다.

 

환경단체와 환경부의 공방은 한 달 가까이 이어져 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말 환경단체가 대구 수돗물을 ELISA법으로 분석한 결과 0.226ppb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돼 논란이 본격화됐다. 이때도 환경부는 고도정수처리로 녹조 독소 물질은 제거된다며, 환경단체의 분석 기법에 문제를 제기했다. 당국은 마이크로시스틴 총량을 측정하는 ELISA법은 미량의 물질을 측정하는데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입장이다. 반면 환경단체들은 마이크로시스틴 주요 5종만 측정하는 환경부의 방식보다 ELISA법이 더 정확성이 높다고 재반박했다.

 

다만 양측의 공방을 떠나 영남 일대 전역의 수돗물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나왔다는 분석 결과가 나온 만큼 낙동강 수질 개선의 요구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관계자는 “분석 방법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녹조와 식수에 대한 시민의 불안감이 커진 것은 사실”이라며 “정수장 시설 강화를 비롯해 식수원 다변화까지 대책들에 최대한 집중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