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통일부 고위 관계자 고성 출입사무소 등 방문
상반기 기본설계 용역…남북경협·교류 재개 움직임
정부가 철도를 통한 남북 경제협력 및 교류 재개를 본격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동해북부선이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통일부와 강원도에 따르면 5일 통일부 고위관계자들이 동해북부선 사업 현장을 방문한다.
김광길 통일부 교류협력정책관과 현창하 정책보좌관, 박상돈 남북경협과장 등으로 구성된 점검단은 이날 고성 동해선출입사무소와 제진역, 통일전망대 등 동해북부선 사업현장을 둘러보기로 했다.
이 중 김 정책관은 개성공단 법률팀장, 박 과장은 남북철도조사공동단장을 맡았던 남북 경협의 핵심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동해북부선 현장 방문의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무엇보다 동해북부선 공사와 관련된 부처가 아닌 통일부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는 자체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지역에는 연초부터 통일부가 철도를 통한 남북 경제협력 교류 재개 의사를 표명한 데 대한 후속 조치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지난달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철도 및 도로를 비롯한 인프라 사업을 '비상업적 공공인프라'로 명시하고 이를 발판 삼아 남북 간 경제협력이 재개될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금강산 지역의 개별관광을 위한 '북한방문지원센터' 설립 추진 계획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동해북부선이 금강산 지역과 직결이 가능하고 국토교통부가 착공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철도 건설과 동시에 남북교류의 지렛대 역할을 할 가능성도 커졌다.
강원도 관계자는 “북한, 금강산과 바로 연결되는 구간인 만큼 통일부에서도 향후 남북교류 등에 대비하기 위해 현장을 둘러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동해북부선은 남강릉신호장에서 제진역에 이르는 111.7㎞ 구간으로 총 사업비는 2조7,406억원, 2027년 초 개통예정이다. 올 상반기 중 기본설계 용역을 거쳐 내년초 노선 등이 확정될 전망이다.
최기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