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경제의 근간을 떠받치고 있는 주요 기업들이 흔들리고 있다.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내수경기 침체 등 악재가 맞물리며 인천 주요 기업이 한꺼번에 경영 위기에 놓였다.
인천 산업생태계와 직결되는 이들 기업의 위기로 인해 인천경제에 ‘쇼크’가 찾아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천을 기반으로 성장해 온 한국지엠, 현대제철, 포스코이앤씨 등은 ‘인력 구조조정’을 고민해야 할 만큼 창사 이래 최악의 경영 위기를 겪고 있다. 여기에 인천에서 경제적 비중이 큰 인천항 물동량마저 줄어들면서 이와 연관된 물류·운송업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지엠, 현대제철, 포스코이앤씨 직원은 모두 합쳐 약 2만명 규모다. 한국지엠 1만명을 비롯해 현대제철 1천300명(인천공장), 포스코이앤씨 6천명 등이다. 한국지엠의 경우 협력업체 직원이 3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현대제철과 포스코이앤씨도 각각 약 2천곳의 협력업체와 거래하고 있다. 한국지엠, 현대제철이 인천 GRDP(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가 넘는다.
이와 함께 인천항 물동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도 큰 문제다. 올해 1~7월 인천항 물동량은 8천334만9천601t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8% 감소했다. 인천항 물동량이 줄면서 창고와 운수업 등 항만 연관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미 현장에서는 이들 기업이 흔들리는 영향을 체감하고 있다. 지역경제에서 체감경기 민감도가 가장 높은 건설분야의 경우 포스코이앤씨 사태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건설경기 악화와 더불어 최근 불거진 산업재해 여파로 전국 모든 사업장을 ‘올스톱’ 시켰다가 최근 안전 점검을 거쳐 순차적으로 공사를 재개하고 있다.

인천에 있는 포스코이앤씨 1차 협력업체 대표는 “포스코이앤씨의 공사 현장이 멈추면 협력업체들은 줄줄이 도산할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공사 현장에서는 토목, 전기, 철근·콘크리트 등 공종별로 하루에 150~200명의 노동자가 일한다. 이들이 공사현장 인근에서 밥 먹고 다 하는데 지역 상권에도 영향이 있지 않겠느냐”며 “안전용품이나 건축자재 납품 업체들도 문을 닫게 생겼다”고 말했다.
인천항 한 창고업체 관계자도 “LCL(한 컨테이너에 여러 화주의 화물을 함께 싣는 것) 화물의 경우 40피트 컨테이너 1개당 처리 비용이 10% 정도 낮아지는 등 매출이 줄고 있다”며 “임대료나 인건비는 상승하는데, 화물 처리 비용은 줄고 있어 물동량이 더 감소하면 창고 운영이 힘들어질 것 같다”고 했다.
임금 수준이 낮은 중소기업 중심 도시 인천에서 한국지엠이나 현대제철, 포스코이앤씨 등은 상대적으로 고임금을 주는 회사다. 이들 회사 소속 직원들의 소비 또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용노동부의 ‘시도별 임금·근로시간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4월 기준 인천지역의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정액급여와 초과·특별급여를 합한 임금총액은 1인당 375만1천원으로 전국 평균(410만원)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상황에서 주요 기업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는다면 인천의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돼 경제 전(全) 분야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은행 인천본부 이동재 기획조사팀 과장은 “한국지엠·현대제철·포스코이앤씨 등은 인천에서 임금이 높고 고용을 많이 하는 기업들로, 이들이 무너지면 실업자가 발생하는 문제만 생기지 않는다”며 “해당 기업에 다니던 근로자들이 그간 지역 내에서 해오던 소비가 줄고, 부동산 시장도 악영향을 받는 등 인천경제가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