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광주일보) 전기차 시대 왔는데…고장나면 수리할 곳이 없다

동네 카센터에서 전기 계통 수리 불가능해 “직영 서비스센터로 가라”
광주·전남 카센터 3000여개 존폐 기로…미래차 정비인력 양성 시급

 

 

광주·전남에서도 전기차가 매년 빠르게 늘고 있지만 정비업체가 절대적으로 부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행거리·충전 인프라 등에 비해 ‘정비 인프라’는 따라가지 못하면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문을 닫는 동네 카센터들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25일 광주시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지난 2015년 304대(광주 50대·전남 254대)였던 전기차가 매년 증가세를 보이면서 6년 만인 올해 들어 지난 9월까지 3816대(광주 1531대·전남 2285대)가 보급됐다. 2015년부터 지난 9월까지 광주·전남에 보급된 전기차도 1만 3540대에 달한다.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전기차 정비 기술 인력·업체 육성도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커지고 있지만 동네 카센터에서는 정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현재 전기차 고장·수리의 경우 동네 정비업체에서는 정비가 사실상 불가능해 자동차 제작사 지정 정비업체 등 수리를 맡길 곳이 극히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동네 카센터는 전기차가 입고되면 무조건 직영 서비스센터로 갈 것을 권하며 수리를 포기하는 형편이다.

광주시 동구 산수동에서 20여년간 정비를 해온 한 업체 관계자는 “전기차들이 센터로 들어오면 워셔액, 와이퍼·브레이크 라이닝·타이어 등 소모품 교체 외에 할 게 없다”면서 “그나마 차량 배터리가 차량 하부에 깔려있는 일부 외제 전기차의 경우 잘못 건드려 고액의 수리비가 청구될 지 몰라 차량을 리프트로 들어올리는 것도 부담스러운 지경”이라고 말했다. 엔진이나 변속기가 없는 대신, 배터리와 모터가 들어가는 등 시스템 전체가 달라 정비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차량 모터 등에 고압 전류가 흘러 감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점도 카센터가 전기차 수리를 꺼리는 이유로 꼽힌다.
 

여기에 전기차가 내연기관차에 비해 부품이 줄고 엔진오일 교체할 일도 없다보니 전기차가 늘수록 일거리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정부가 전기차 육성 정책을 내놓은 만큼 카센터의 주요 수입원을 차지했던 엔진오일 교체 등 경정비 업무가 사라질 날도 머지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당장, 제주도의 경우 전기차 보급률이 5%를 달성하는 기간(2015~2019년) 동안 정비업소 59곳(12.6%)이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 등은 제주도에 전기차 보급계획이 차질없이 이뤄질 경우 오는 2030년이면 종합정비소는 21곳만 남을 것으로 전망했다. 광주·전남도 다르지 않다.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019년을 기준으로 광주·전남지역 중대형 정비업체인 자동차종합수리업체는 490곳, 전문정비업체인 동네 카센터는 2602곳으로 여기에서 일하는 종사자만 1만 295명에 이른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될수록 동네 카센터가 문을 닫고 여기에서 근무하는 인력들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 대책도 미온적이다. 완성차 정비업체만을 대상으로 전기차 전문 정비소 확충계획을 세워놓고 있을 뿐 동네 카센터에 대한 대책은 마련해놓지 못한 상태다. 현재 1100개의 전기차 정비소를 2025년까지 약 3300개로 확대한다는 게 정부 계획이지만 현대자동차의 블루핸즈, 기아자동차의 오토큐 등 대기업 완성차 제작사가 운영하는 정비업체로 국한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동주(비례)의원도 ‘자동차 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 전략’을 통한 ‘미래차 현장인력 양성사업’ 대상이 연간 480여 명에 불과하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국토교통부는 고가의 전기차 장비, 전기차 무상수리 보증기간, 낮은 전기차 정비수요로 인해 영세 정비업까지 전기차 정비소를 확충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입장도 내놓았다.

한국자동차정비업체협회 광주지부 관계자는 “증가하고 있는 전기차 보증기간이 도래하지 않았지만 2~3년 후에는 일반 정비업체의 전기차 정비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현재 정비업 사업자와 종사자에 대한 전기차 전문정비 교육을 대폭 확충하는 한편, 정비업체의 줄폐업과 대규모 일자리 감소에 따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많이 본 기사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