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11.5℃
  • 맑음서울 14.4℃
  • 맑음인천 13.1℃
  • 맑음원주 15.1℃
  • 맑음수원 13.7℃
  • 맑음청주 16.0℃
  • 맑음대전 13.7℃
  • 맑음포항 12.1℃
  • 맑음대구 12.5℃
  • 맑음전주 15.1℃
  • 맑음울산 10.4℃
  • 맑음창원 11.7℃
  • 맑음광주 15.8℃
  • 맑음부산 11.8℃
  • 맑음순천 11.3℃
  • 맑음홍성(예) 14.1℃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김해시 11.3℃
  • 맑음구미 13.9℃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서울 아파트 한 채면 부산 3채 산다

서울의 아파트 1채를 팔면 부산 아파트 3채를 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자산 규모로 따지면 서울의 1주택자가 부산의 3주택자와 맞먹는다는 얘기다. 서울 집값이 급등하면서 지역과의 집값 격차가 더 크게 벌어지는 집값 양극화는 문재인 정부 들어 한층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7월 평균 매매가 8억 8183만 원

부산 2억 9786만 원 ‘3배’ 육박

文 정부 들어 집값 양극화 심화

수영구 평균 4억 3128억 ‘1위’

중·사하·사상구 등 2억 못 미쳐

 

 

1일 한국감정원의 주택 매매가격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수도권 집값이 지속적으로 오르면서 7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8억 8183만 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부산의 아파트는 평균 2억 9786만 원에 팔려 서울 아파트값이 부산의 3배에 육박했다.

 

8대 특·광역시를 비교하면 서울에 이어 세종이 4억 5547만 원으로 두 번째로 비쌌고 인천(3억 2107만 원), 대구(3억 1304만 원), 대전(3억 1219만), 부산, 울산(2억 4057만 원), 광주(2억 3475만 원) 순이었다. 특히 서울에서 가장 아파트값이 비싼 서초구의 경우 평균 17억 5101만 원에 달해 부산 아파트 6채를 구매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서울과 지역 간 집값 양극화는 문재인 정부 들어 한층 심해진 것으로 드러났다. 문 정부가 집권한 2017년 5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5억 7028만 원으로, 부산(2억 5699만 원)의 2.2배 수준이었다.

 

당시는 해운대 수영 동래 연제 남구 등 부산의 주요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이면서 부산 아파트값이 약세를 면치 못하던 시절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현재의 격차가 더 크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지난해 11월 조정지역에서 풀리면서 부산 아파트값이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고는 하지만 서울 집값은 그보다 훨씬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서울과 부산 간 아파트값 격차가 한층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매입, 보유, 처분 등 부동산 거래 전반에 걸친 정부의 고강도 규제로 소위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는 경향이 짙어지면서 부산지역 내에서도 동서 간 양극화가 심화하는 모습이다.

 

부산에서 7월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은 수영구로, 평균 4억 3128억 원에 팔렸다. 이어 해운대(4억 266만 원), 남(3억 5858만 원), 동래(3억 5453만 원) 등 동부산권의 ‘해수남동’ 아파트 거래가가 높았다. 반면 노후 아파트가 많은 중구는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1억 4733만 원으로, 수영구의 3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었다. 서부산권인 사하(1억 9066만 원), 사상(1억 9433만 원)과 원도심인 영도구(1억 9611만 원)도 아파트 매매가가 2억 원에 못 미쳤다. 문 정부 집권 초기 2.55 대 1 이었던 수영구와 중구 간 아파트값 격차는 올해 7월 들어서는 2.92 대 1로 벌어졌다.

 

부산지역 내 고가아파트와 저가아파트 간 가격 차 역시 조사 이래 최대치로 벌어졌다. KB국민은행 월간 주택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 아파트 5분위 배율은 4.4로, 2013년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았다. 5분위 배율은 주택을 가격 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5분위)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이 배율이 높을수록 고가와 저가 아파트 가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산의 지난달 1분위 아파트 가격은 평균 1억 1900만 원인 데 비해 5분위 아파트 가격은 평균 5억 2936만 원이었다. 2017년 7월에는 1분위 1억 2462만 원, 5분위 4억 9741 원으로 5분위 배율이 4.0이었다. 고가 아파트는 가격이 치솟는 반면 저가 아파트는 되레 떨어지면서 갭이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이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는 서울과 비수도권, 지역적으로는 인기와 비인기지역의 양극화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고 진단한다. 수요자 입장에서는 투자 장벽이 높아지면서 이른바 돈 되는 핵심지역 쏠림 현상이 발생하고, 시장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공급 측면에서도 비인기 지역보다는 검증된 인기지역 중심으로 공급을 집중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혜신 솔렉스마케팅 부산지사장은 “과거 강남과 강북으로 대변되던 서울의 지역별 가격 격차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으로, 현재의 규제 정책이 지속될 경우 이런 현상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많이 본 기사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