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전북일보) [창간 70주년 - 통계로 보는 전북의 변화] 농도(農道)의 위기…산업구조 개편·인구감소 해결이 숙제

수도권 중심 개발이 전북 인구 유출로 이어져
반대 위한 반대에 발전 기회 놓치며 정량지표에 악영향
금융·탄소·지식산업 등 도전이 사회상 바꾸는 데 주효

 

 

편집자 주=조선시대부터 대표적인 곡창지대였던 전북의 위상은 지난 70여 년 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21세기가 시작된 2000년부터 통계에 전북의 현실이 적나라하게 반영되고 있다.

이에 본보는 창간 70주년을 맞아 통계와 역사자료 등을 통해 전북의 변화한 모습을 살펴보고, 희망적인 미래를 만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해본다.



△해방 이후보다 인구가 감소한 유일한 지역

전북은 일제강점기 당시보다 인구가 감소한 국내 유일한 지역이다.

1949년 당시 전북인구는 205만 485명이 살았지만 지난해 기준 182만 명까지 줄어들었다. 당시 우리나라 인구는 2018만 명 수준이었다. 특히 2000년 대 들어서는 인구가 단 한 번도 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0년 기준 200여 만여 달하던 도민은 20여 년 새 18만 명이 감소했다. 현 국내 인구 수 가 5178만 명으로 배 이상 증가하는 가운데 전북에서는 그 어느 지역보다 빠른 인구 유출이 나타난 것이다. 지역행정당국과 정치권은 수도권 집중발전으로 인한 전국공통현상이라 항변하지만 일제 해방이후보다 인구수가 적은 곳은 전북이 유일하다. 그만큼 전북에 먹고 살만한 기반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인구가 줄어든 전북은 경제 기반과 발전 동력 역시 함께 떨어지고 있다. 다만 인구감소 속에서도 오히려 1인 가구는 늘면서 세대수는 통계가 잡힌 2000년 기준 세대수인 65만에서 17만(26.4%) 세대가 증가한 82만 세대로 늘었다.

이는 대가족 중심의 농경사회가 개인주의 사회로 빠르게 변화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전북은 여전히 농도에 머물러 있다.



△농경사회에서 산업화시대 변화 따라잡지 못한 전북

전북은 군사정부의 서울 집중전략과 의도적인 호남 소외의 영향을 받아 농업에서 제조업으로의 경제구조 개편에 실패했다,

전북은 군사정부시절, 영남에 집중됐던 산업화와 수도권의 수혜를 받은 충청에 밀려 소외된 것이다. 전북이 농생명, 금융, 탄소 등으로 신 성장 동력을 마련하려는 것도 군사정부 시절 한국의 산업화 구조와 고착된 것을 뿌리 뽑으려는 시도다.

전북의 지역 내 총생산(GRDP)는 2000년 20조 8200억 원 보다 2.5배 증가한 51조 원이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GDP는 632조에서 지난해 1913조9600억 원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아직까지 전형적인 농도를 모습을 띠는 전북도 농경사회 변화의 큰 흐름은 나타난다.

도내 농가 수는 2000년 13만 7417명에 달했지만, 지난해는 10만이 깨진 9만4735명으로 집계됐다. 20년 새 31.1%나 줄어든 것이다.

반면 사업체 수는 크게 늘지 않고 있는데 2000년 12만1548개였던 사업체 수는 최근 통계인 2018년 15만1000명으로 고작 3만개가 늘었다. 여기에 대기업 등 지역경제를 이끌 수 있는 기업이 전북을 떠나면서 2000년 13억 7973만8000 달러였던 무역수지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와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한국지엠 군산공장 등의 영향으로 63억7116만6000달러로 정점을 찍었지만 지난해에는 이들 기업들이 전북을 떠나며 2000년과 비슷한 수준인 15만5051만6000 달러까지 떨어졌다.



△빅데이터로 살펴보는 지금의 전북 행정구역과 새만금

1896년 13도제 시행으로 전라도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로 분할된다.

전라북도는 전라도 53개 군 가운데 전주를 포함한 북부 26개 군(전주, 고부, 고산, 구례, 금구, 금산, 남원, 김제, 만경, 무주, 부안, 순창, 여산, 옥구, 용담, 용안, 운봉, 익산, 임실, 임피, 장계, 장수, 정읍, 진산, 태인, 함열)을 관할했다. 그러나 1907년 구례군이 전라남도로 편입되고, 전라남도에서 고창, 무장, 흥덕 3개 군을 편입하여 28개 군을 관할하게 된다.

1914년에는 일제가 전국의 군을 대대적으로 통폐합했다. 이때 전북의 군은 28개에서 14개로 개편됐다. 군산부(구 옥구부)에서 옥구군이 분리되었다(1부 14군). 이후 해방 이전인 1935년에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해방 직후인 1947년에 익산군 이리읍이 이리부로 승격되었다(3부 14군).

그리고 1963년 박정희 정권 초창기에 금산군이 충청남도로 편입되는 굴욕을 겪었다. 익산군 황화면 또한 논산군에 편입되면서 연무읍으로 변경됐다. 1980년에 정읍군 정주읍과 남원군 남원읍이, 1989년에 김제군 김제읍이 각각 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전국 행정구역 개편(도농통합)에 따라 현재의 모습이 만들어졌다.

전북은 행정구역 개편 때마다 정치적 이유로 차별을 받았다. 본래 전남과 충남의 일부 지자체는 과거 전북에 포함됐던 것들이다. 전북에서 추진되는 단군이래 최대의 간척사업인 새만금 사업 역시 관할지역을 빼앗겼던 전북도민들의 강한 열망에 시작된 측면도 크다.



△금융 등 신성장 산업으로 지표 성장 이끌어야

전북은 금융도시 조성을 통해 돈이 돌고 사람이 찾는 지역을 만들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실제 금융산업은 기업생태계와 밀접하게 맞물리며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통계에서도 확인됐다.

실제 전북지역 금융기관 수신은 2017년 기금운용본부 이전을 기점으로 마이너스 증가에서 플러스 증가로 완전히 전환됐다. -1910억이던 수신액 증가량은 2017년 2월 2조4930억 원이나 증가했다. 이는 오로지 기금운용본부 이전 효과다. 당시 총 수신잔액은 57조1795억 원이다. 여기에 도내 금융기관에 돈이 돌기 시작하면서 전북의 지점이나 사무소의 규모 축소되던 것이 오히려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우리은행이나. SK증권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에 따라 수신액 증가는 계속되고 있는데 올 3월 기준 도내 금융기관 총 수신 잔액은 꾸준히 늘어 84조2911억 원에 달한다.

이는 천문학적인 자본을 운용하는 금융기관이 소재지를 전북에 튼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또 도내 금융기관 자금융통사정이 대폭 개선됐음을 의미하며 결국 이는 기업유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금융도시가 완성될 경우 그 효과는 더 막대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윤정 기자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