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광주·전남에서 모처럼 1만명 아래로 떨어지는 등 감소세로 접어들고 있다.정부는 ‘사적모임 10인·영업시간 밤12시까지’로 제한한 현행 거리두기 조치가 이번 주말 종료됨에 따라 마스크 해제 등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전반에 대한 조정 논의에 착수했다.11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광주 3979명, 전남 4450명 등 총 8429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광주·전남은 지난 3월 1일 1만명을 넘어선 이후 40여 일만에 1만명 이하로 감소했다.특히 광주는 3월 3주차에 8만 1098명까지 치솟은 뒤 4주차 7만 301명, 5주차 6만 5317명, 4월 1주차 5만 1369명으로 단계적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광주는 요양병원 등 집단감염 여파로 60대 이상 고위험군의 확진자 비율이 17.5%를 차지해 특별 관리에 들어갔다. 전남은 지역별로 순천 731명, 목포 722명, 여수 604명, 나주 356명, 광양 353명 등 22개 시군 모두에서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전남 역시 60대 이상 확진자가 23.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전국적으로도 일요일 영향이 반영된 것이긴 하지만, 지난 2월 22일 이후 48일
코로나19가 정점을 지나 한풀 꺾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보통 주 초반인 월요일엔 주말·휴일 검사 수 감소 영향으로 신규 확진자가 적게 나오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 광주·전남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완만한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4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광주 5801명, 전남 5959명 등 1만 1760명이 확진됐다. 이달초까지 2만명대를 오르내리던 광주·전남은 지난 2일 1만9193명, 3일 1만7439명 등 3일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1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도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면서 이날 신규 확진자는 전날(23만 4301명)보다 10만 7111명 감소한 12만 7190명을 기록했다. 지난 2월 22일(9만 9562명) 이후 41일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1주일 전인 지난달 28일 18만 7182명과 비교하면 5만 9992명, 2주 전인 21일 20만 9124명보다 8만 1934명 적다.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도 감소세다.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위중증 환자는 지난달 31일 1315명이 최대치였던 것 같다”며 “위중증 환자는 크게 증가하는 현상
정부가 국내 코로나19 대유행이 완만한 감소세로 접어들었다는 판단에 따라 내주부터 적용할 새 사회적 거리두기의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도 역대급 신규 확진기록을 찍은 뒤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지난 31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광주 1만1362명, 전남 1만 3707명 등 2만5069명이 확진됐다. 이는 역대 최다 확진자 수를 기록했던 전날 2만9763명보다 4694명이 감소한 것이다. 광주에선 요양병원과 복지기관 등 시설 집단감염 관련 신규 확진 비중도 낮아져 2.3%(267명)에 그쳤다. 확진자 대부분은 기존 환자와의 접촉 등 일상생활 감염이었다.전남에선 순천 2588명, 여수 2222명, 목포 1787명 등 도내 22개 모든 시·군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전남지역 누적 확진자 수는 37만1620명으로, 전남도내 전체 인구의 20.3%를 차지했다.전국적으로도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2만743명으로, 40만명대를 기록한 전날(42만4천641명)보다 10만3898명 줄었다. 1주일 전인 24일(39만5532명)보다는 7만4789명 적고, 최다 확진자를 기록한 2주 전 17일(62만1188명)보다는 30만445명
감염속도가 빠른 ‘스텔스 오미크론(BA.2)’이 광주·전남을 강타하면서 주춤했던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일일 신규 확진자수가 역대 최다 기록을 넘어서고,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도 증가했다.30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광주 1만 2301명, 전남 1만 7462명 등 2만 9763명이 신규 확진됐다. 일일 신규 확진자 기준 지역 내 최다 확진 기록이다. 그동안 광주·전남지역 일일 최다 확진기록은 지난 16일 2만 7967명이었다. 광주에선 이날 코로나19 관련 사망자 9명이 발생하고, 위중증 환자도 33명이나 늘어나는 등 ‘스텔스 오미크론발’ 시민 피해도 증가하는 추세다.방역당국은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 구간을 지나고 있는 상황에서 전파력이 더 강한 스텔스 오미크론까지 겹치면서 일상생활 접촉과 기존 집단 감염원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 광주에선 3월 4주차 기준 스텔스 오미크론 검출률이 76.7%에 이르고 있다.광주에선 이날도 가족·지인·직장 동료 간 일상접촉에 따른 감염이 이어졌고, 기존 감염원인 요양병원 4곳에서 140명이 추가됐다. 20대 이하가 전체 신규 확진자의 40.9%를 차지하는 등
오미크론보다 감염속도가 빠르고, 재감염 위험성도 높은 것으로 알려진 ‘스텔스 오미크론(BA.2)’이 광주를 뒤덮은 코로나19의 지배종이 될 것으로 보인다.광주는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1만명 대를 오르내리는 등 다소 주춤한 모습이지만, 스텔스 오미크론 확산 양상에 따라 재유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특히 정부에서 내달 3일자로 종료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대폭 완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제2의 집단감염 유행 등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29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광주의 신규 확진자는 1만 1819명을 기록했다. 이달 들어 하루 1만 5000명대까지 치솟았던 광주의 신규 확진자수는 지난 26일 9909명을 시작으로 27일 8933명, 28일 7481명, 29일(0시 기준) 7920명 등 4일 연속 1만명 아래를 유지했으나, 다시 1만명대 초반으로 진입했다.방역당국은 일단 최정점을 찍고 감소세에 접어든 것으로 보고 있으나, 앞으로 전파력이 강한 스텔스 오미크론을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재유행 여부를 결정짓는 변수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세계적으로도 델타와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정점을 찍고 일상회복을 기대했던
광주·전남지역을 덮친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한풀 꺾이는 모양새다.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을 찍고 완만한 하락세로 접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국적으로도 신규 확진자가 급감하면서, 정부는 조만간 내달 3일 종료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28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광주는 전날보다 1452명이 줄어든 7481명이 신규 확진됐다. 신규 확진자 가운데 0∼29세까지 연령대가 3141명(42.0%)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이상은 1322명(17.7%)으로 조사됐다. 기존 집단감염이 발생한 남구 의료기관에서 9명(누적 14명), 북구 소재 요양시설에서 8명(누적 20명)이 추가 확진됐다. 주간보호센터와 시립제1요양병원, 북구 요양병원 등에서도 집단감염이 발생해 4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전남에서도 이날 모처럼 1만명 미만인 8398명이 신규 확진됐다. 전남은 6일 연속 1만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이날 순천이 1385명으로 가장 많았고, 목포 1324명, 여수 1216명, 광양 712명, 무안 540명, 나주 510명, 해남 339명, 영광 337명 등이었다.전남은 유·초·중·고등학교 학생이 2124명으로 전체의
광주시의 민선 7기 주요 현안 사업들이 과도한 수사와 민원성 소송 등에 발목이 잡히면서, 지역의 미래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시민 삶과 밀접한 핵심 현안 사업들이 길게는 수년간 법정소송에 휘말리는 바람에 뒤늦게 승소 하더라도, 사업차질은 물론 행정력 낭비 등 각종 부작용이 심각하기 때문이다.22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민선 7기 들어 진행된 행정·민사소송 169건 가운데 136건을 승소했다. 승소율만 무려 80.5%에 이른다. 이 가운데 최근 지역 현안사업인 민간공원 특례사업, 어등산 관광단지 개발사업, 지산유원지 개발 사업 관련 소송 등에서도 연이어 광주시가 승소했다.하지만, 일부 업체들이 패소 이후에도 항소하거나 항소 의지를 밝히는 등 사실상 ‘시정 발목잡기식’ 소송을 이어가면서, 관련 사업의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게 광주시의 하소연이다.실제 명품 도심공원을 조성하는 ‘민간공원 특례사업’만 봐도, 광주시는 전국 자치단체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정도로 모범적인 사업모델을 구축하고 실행 중이지만 관련 민원성 소송은 74건에 이른다. 공직사회에서 소송 때문에 업무추진이 불가능하다는 하소연이 쏟아지는 이유다.재판결과만 살펴봐도
광주시는 “교통약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무장애 시티투어 전용버스 1대를 구입하고 22일부터 운행한다”고 21일 밝혔다.시는 운행에 앞서 21일 광주송정역 앞 시티투어버스 정류소에서 조인철 문화경제부시장, 조석호 시의회 부의장, 김나윤 교육문화위원장, 정진삼 장애인문화협회장과 관광약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무장애시티투어버스 시승식도 가졌다.광주 무장애 시티투어 전용버스는 휠체어 전용 2석을 포함해 총 20석으로, 수어와 다국어를 포함한 디지털 가이드를 도입해 광주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편리하게 도심 관광을 즐길 수 있다. 22일부터 11월 30일까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광주송정역→공항역→유스퀘어터미널→중외공원→전통문화관→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전일빌딩→양림역사문화마을→김치타운→공연마루(오후만)→유스퀘어터미널→공항역→광주송정역 코스로 일일 2회 운행한다.김성배 광주시 관광진흥과장은 “무장애 시티투어 전용버스 도입으로 광주를 여행하는 관광약자의 물리적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광주를 대표하는 관광 아이콘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담아내고 적극 알리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광주-전남 연계 투어버스는 1코스 무등산권 지질명소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당선되면서, 광주·전남 시·도민에게 약속한 지역 대선공약의 실현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특히 윤 당선인이 제시한 공약들이 지역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숙원 사업이라는 점에서, 공약 실현을 염원하는 지역민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10일 광주시와 전남도, 국민의힘 등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광주 대선 공약으로 ‘자유·민주·인권의 수도’를 표방하며 ▲대한민국 인공지능(AI) 대표 도시 ▲ 미래 모빌리티 선도 도시 ▲광주∼영암 초(超) 고속도로와 광주∼대구 달빛고속철도 건설 ▲도심 광주공항 이전 ▲서남권 원자력의료원 추진 ▲5·18 국제자유민주인권연구원 설립 ▲복합쇼핑몰 유치 등을 약속했다. 윤 당선인은 특히 광주시의 핵심 미래 사업인 인공지능(AI)산업 육성을 첫 번째 공약으로 내세우고, 선거운동기간 광주 AI데이터센터 건립지를 직접 방문하는 등 광주 AI산업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윤 당선인은 당시 방문 현장에서 “광주가 대한민국·아시아·세계의 AI(인공지능) 거점 도시가 되도록 저 윤석열이 만들겠다”며 “청년들이 꿈과 희망을 가지고 몰려드는 그런 멋진 도시가 돼야 하지 않겠나”라고 강조했다.윤 당선
“광주를 GDP(국내총생산) ‘꼴등 도시’로 왜곡하고, (광주시민은) 명품 등 좋은 물건에 관심을 가지면 투쟁의지가 약화된다는 게 말이 됩니까?”향후 지역발전 등을 고려해 대통령 선거와 관련돼 말을 최대한 아껴왔던 이용섭 광주시장이 작심한 듯 국민의힘의 왜곡발언 등을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다.대선 과정에 국민의힘이 미래 지역 발전에 대한 청사진도 아닌 뜬금없는 ‘광주 대형복합쇼핑몰 유치’를 지역의 대선 이슈로 꺼내들고 전략적인 ‘정치 공세’를 펴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과 함께 소신 발언을 쏟아냈다. 이 시장은 21일 오전 시청에서 출입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와 이준석 당 대표 등이 주장한 광주 복합쇼핑몰 유치·광주 GDP(국내총생산) 꼴등 발언 등에 대해 “호남표심을 의식한 정치 행위로, 변화와 혁신을 통해 어느 도시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광주 이미지를 훼손하고, 광주시민의 자존심에 상처를 준 폄하발언이자 허위사실”이라고 지적했다.이 시장은 “광주는 대한민국 민주화를 선도해온 정의로운 도시지만, 오히려 이런 이유로 과거 보수정권에서 소외받아 경제적으로 매우 낙후돼 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3번의 민주정부를 거치면서 광주는 크게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