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8.4℃
  • 구름많음서울 28.5℃
  • 소나기인천 29.8℃
  • 구름많음원주 29.2℃
  • 흐림수원 29.9℃
  • 맑음청주 31.0℃
  • 맑음대전 31.0℃
  • 구름많음포항 28.2℃
  • 구름많음대구 28.6℃
  • 구름많음전주 26.1℃
  • 구름조금울산 26.4℃
  • 구름조금창원 25.7℃
  • 구름조금광주 26.6℃
  • 구름조금부산 29.0℃
  • 구름조금순천 24.2℃
  • 구름조금홍성(예) 28.9℃
  • 구름많음제주 27.7℃
  • 구름조금김해시 27.8℃
  • 구름많음구미 28.8℃
기상청 제공
메뉴

(대전일보) '화성 참사' 충청권도 전지 시설 수두룩…리튬 화재 대책 마련 시급

대전·충남 전지 관련 시설 150곳… 화재·폭발 사고도
사후약방문 떠나야 잠재 위협 떠나… 철저한 안전관리 요구

충청권도 대형 참사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위중한 경고가 나온다. 24일 경기 화성에서 발생한 화학공장 대참사는 안전 관리 부실이 낳은 인재(人災)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150여 개 전지 관련 시설을 품은 충청권 또한 철저한 예방·관리 대책이 없는 한 잠재된 위협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지적이다.

25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전 10시 31분쯤 경기 화성 리튬전지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23명이 숨졌다. 사망자는 한국인 5명, 중국인 17명, 라오스인 1명으로, 단일 산재 사고로는 가장 많은 외국인 근로자가 생명을 잃은 참사로 기록됐다.

이처럼 피해 규모가 커진 원인으로 리튬 전지의 기술적 특성에 더해, 안전관리 부실도 제기된다. 리튬 전지는 배터리 하나에서 열이 발생하면 인근 배터리로 순식간에 열이 전달되는 '열 폭주 현상'이 일어나 연쇄 폭발로 이어지고, 한 번 불이 나면 쉽게 꺼지지 않는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물이나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와 닿으면 폭발할 수 있어 마른 모래 또는 팽창 질소 등을 사용해 불을 꺼야 한다. 물 또는 일반 분말 소화기로 끌 수 없는 까다로운 화재지만, 현재 전용 소화약제는 물론 관련 매뉴얼도 없다. 전기자동차, 전동킥보드 등 리튬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는 동안 안전사고와 관련 대책에서는 관심도가 떨어졌던 탓이다.
채진 목원대 소방안전학과 교수는 "리튬 전지 화재는 전조증상으로 이산화탄소 등 여러 오프가스가 나오고 15-40초 후 열 폭주 현상이 나온다. 이때가 골든타임이다. 이때 냉각기능이 있는 소화약제를 뿌리면 열 폭주 현상을 막을 수 있다"며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전동킥보드 관련 화재 위험성에 대해 문제제기가 많이 됐었지만, 정부가 사실상 규제를 안 하고 손을 놓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관련 사고에 대해 마땅한 예방·관리책이 없는 상황에서 충청권도 안전지대가 아니다.

충남도와 대전시 등에 따르면 충남에는 배터리 제조·판매·연구 등 관련 업체가 130곳, 대전에는 16곳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충남은 특히 1·2차 전지 생산업체를 포함해 천안 73개, 당진 6개, 아산 29개, 공주 3개, 논산 3개, 금산 5개, 서산 7개, 예산 4개 업체 등이 모여 있다.

화재·폭발 사고 사례도 있다. 충남도 내 한 업체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 5번의 크고 작은 화재·폭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2015년 10월 야외 폐전지 보관장에서 불이 나 폐리튬전지 8000여 개가 타면서 화염과 연기를 분출, 배터리가 연쇄 폭발해 쇳조각 등 폭발 파편들이 민가를 덮친 바 있다.

관련 산업 규모가 커지는 만큼 생산·판매·연구 시설도 대폭 늘어날 예정이다. 예방·관리 대책이 부재한 상황에서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대형사고 위협에서 벗어날 수 없다. 매년 전국에서 끊이지 않는 산업재해를 막기 위해서는 사후약방문식 대처를 떠나 철저한 안전관리가 요구된다는 이유다.

이창우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리튬이온 전지 화재는 그동안 많았는데, 여태까지 매뉴얼을 갖추지 않은 건 말도 안 된다. 관련 화재는 한 번 발생하면 그 피해도 크다"며 "리튬 전지가 일반화학물질로 분류돼도 원료 자체는 위험물이다. 예방 대책은 물론, 사고 발생 후 피해를 최소화하는 관리 포인트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소방청은 내달 9일까지 2주간 전국 전지 관련 213개 시설을 대상으로 긴급 화재 안전조사를 벌인다. 안전관리 실태와 소방시설, 피난·방화시설 유지관리, 위험물 저장·취급 준수 여부 등이 조사된다. 대전소방본부도 25일 유성구 관평동 소재 배터리 관련 제조공장을 시작으로 관내 16개 관련 업체에 대해 화재 안전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