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강릉 22.1℃
  • 구름조금서울 25.6℃
  • 구름조금인천 25.9℃
  • 구름많음원주 24.1℃
  • 구름많음수원 25.3℃
  • 구름많음청주 25.2℃
  • 흐림대전 24.5℃
  • 구름많음포항 22.2℃
  • 구름조금대구 22.9℃
  • 구름많음전주 25.0℃
  • 흐림울산 21.6℃
  • 구름많음창원 23.3℃
  • 구름많음광주 23.7℃
  • 부산 22.2℃
  • 구름많음순천 21.0℃
  • 구름조금홍성(예) 24.5℃
  • 흐림제주 24.7℃
  • 흐림김해시 22.7℃
  • 구름많음구미 23.0℃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발굴 40년 가야고분군 마침내 세계유산 되다

등재 추진 10년 만에 국제적 인정
한국 세계유산 총 16건으로 늘어
부산 복천동고분군 추가 등재 등
가야사 복원 관심·예산 확충 숙제

한반도에 존재한 고대 문명 가야를 대표하는 고분 유적 7곳을 묶은 ‘가야고분군’이 마침내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됐다. 이는 가야사 발굴 40여 년 만의 결실이자, 등재 추진 10년 만의 성과다. ‘잃어버린 왕국’ ‘잊힌 역사’였던 가야사가 ‘세계 역사’가 된 것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17일(현지 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회의에서 가야고분군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위원회는 “주변국과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독특한 체계를 유지하며 동아시아 고대 문명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는 점에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가 인정된다”고 평가했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가야고분군‘은 7개 고분군으로 이뤄진 연속유산이다. 7개 고분군은 경남 김해시 대성동고분군, 함안군 말이산고분군, 창녕군 교동과 송현동고분군, 고성군 송학동고분군, 합천군 옥전고분군, 경북 고령군 지산동고분군, 전남 남원시 유곡리와 두락리고분군이다. 경남 5곳, 경북·전북 각 1곳이다. 이로써 한국은 총 16건의 세계유산(문화 14건, 자연 2건)을 보유하게 되었다.

세계유산 등재로 기대와 함께 과제를 안게 됐다. 가야고분군의 국제 지명도가 높아지면서 관광객 증가와 이에 따른 고용 기회, 수입 증가 등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해당 지자체들도 “가야고분군의 역사적 가치를 세계에 알리고, 세계인이 방문하는 문화유적지로 보존·활용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정부의 추가적인 관심·지원이 필수적으로 따라야 하는 것은 윤석열 정부의 과제와 직결된다. 문화재계는 “이번 정부 들어 가야사 복원이 국정과제에서 빠졌다”며 “세계유산 등재를 계기로 가야사 연구복원 사업의 지원 체계를 새롭게 확충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하고 있다. 가야사 복원과 관련해 김대중 정부 때 1279억 원, 박근혜 정부 때 339억 원, 그리고 문재인 정부 때 3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했다.

고대사에 대한 시각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삼국시대론을 갱신하는 고대사 ‘사국시대론’의 중핵으로서 가야사가 한국 역사를 넘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우리 고대의 강역인 한반도와 만주를 아우를 때 통일신라의 ‘석굴암·불국사’(1995), 신라의 ‘경주역사유적지구’(2000), 백제의 ‘백제역사유적지구’(2015)가 이미 세계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고구려의 경우, 분단의 아픔과 현 국경에 따른 안타까움이 묻어나는데 2004년 북한의 ‘고구려고분군’(30기)과 중국의 ‘고대 고구려왕국 수도와 묘지’(3개 도시와 무덤 40기)가 나란히 등재됐다. 이런 가운데 ‘제4의 제국 가야 카드’의 세계적 공유는 마지막까지 빠져 있던 고대사 얼개의 중요 부분을 마침내 채운 것으로 평가된다.

‘세계유산의 꿈’을 무산시킨 부산시의 과제는 상당하다. 가야고분군의 대명사인 부산 복천동고분군은 지난 2018년 일대의 대대적인 아파트 재개발 추진 때문에 등재 추진 과정에서 탈락하는 충격파를 던졌다. 문화재계는 “복천동고분군은 여전히 국가 사적”이라며 “세계유산에 추가 등재할 수 있을 만큼 복천동고분군을 ‘가야사의 숨은 보석’으로 확장할 수 있는 노력을 부산시가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주문하고 있다.

한편 세계유산위원회 측은 등재를 결정하면서 7곳의 유산을 통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체계 구축, 지역공동체 참여 확대 등을 권고했다.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