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일보) 광주·전남·북 새 활로 호남권 메가시티 구축

  • 등록 2025.04.22 09:35:38
크게보기

광주일보 73주년 제안
<1> 호남 경제동맹
초광역 교통망으로 생활권 공유
수도권 등과 경쟁·소멸 막아야

21대 6·3장미대선이 4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광주시와 전남도가 각 정당과 대권주자들의 공약에 지역현안을 반영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공약으로 명시돼야 명실상부한 추진동력을 얻을 수 있어서다. 광주일보는 창간 73주년을 맞아 지역민의 여망을 담은 현안을 집중 점검하고 공약채택의 당위성을 조명한다.

 

광주·전남·전북의 새활로를 열어줄 대안으로 ‘메가시티’(Mega-City)가 조명받고 있다.

 

산업기반이 약하고 도시 경쟁력이 약한 호남이 수도권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는 것이다. 메가시티는 인구 1000만 명 이상의 거대도시를 뜻하나, 최근 광주·전남·전북이 추진하는 메가시티는 권역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생활·경제권을 공유, 성장축으로 활로를 모색하는 도시 모델이다.

 

전문가들도 기반시설, 편의시설, 의료복지시설 등에서 압도적인 수도권과 영남권에 몰리고 있는 연구개발기관, 민간기업 등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호남권 메가시티’ 조성을 꼽고 있다.

 

2000년도 초부터 자치단체에서 메가시티 논의는 시작됐지만, 호남권은 준비가 한참 늦었다.

 

지난 2004년 호남권 3개 광역지자체는 처음으로 정책협의회를 가질 정도로 타 지역에 앞섰으나 결실을 맺지 못했다.

 

2017년까지 11번이나 모임을 가졌는데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정책협의회를 개최한지 7년만인 지난해 호남권 메가시티 구상을 구체화하는 단계다. 메가시티 조성에 대한 주도권을 타 지역에 내줄 경우 지역 소멸이 가속화 될 것이라는 위기감 때문이다.

 

반면, 부산·울산·경남(부·울·경)은 인구 800만의 동남권을 제2의 국가 성장축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메가시티 플랫폼 구축을 본궤도에 올렸다.

 

이들 지역은 2019년 3월 ‘동남권 상생발전 협의회’를 구성했으며, ‘동남권 발전계획 수립 공동연구’를 울산연구원, 부산연구원, 경남연구원이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도 ‘광역도시계획 수립’ 및 ‘광역교통협의회’를 통해 광역협력을 구체화하는 방안으로 메가시티 조성을 계획 중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행정통합을 통한 2022년 (가칭) ‘대구경북 특별자치도’를 통해 글로별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도권과 불균형 완화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연말까지 특별법을 제정해 2026년 7월 통합 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행정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는 행정안전부로부터 ‘충청지방정부연합’ 설치를 승인받았다.

 

타 자치단체 보다 늦은 출발을 하고 있는 호남권 메가시티는 정부의 전폭 지원이 절실하다.

 

호남권 메가시티는 초광역 교통망 확충 등 대형현안이어서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 없이는 결실을 맺을 수 없는 현안이다.

 

더구나 수도권과 격차는 더 심화하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GRDP(지역내총생산) 격차는 2010년 1.2%p에서 2021년 기준 5.6%p로 증가했고 점차 더 벌어지고 있다.

 

호남권 청년인구 이탈, 초고령화는 지방소멸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해 호남권 메가시티를 위한 경제동맹 공동선언문에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려는 갈절함이 담겨 있다.

 

경제동맹 공동선언문을 낭독한 강기정 광주시장은 “국가균형발전은 발전전략을 넘어 생존전략으로, 수도권 1극체계를 깨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어둡다”면서 “지자체간 경계를 넘어 수도권과 경쟁·발전할 수 있는 단일한 경제생활권을 만들고, 청년이 떠나지 않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광주·전남·전북이 대한민국 초광역협력의 성공모델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말했다.

정병호기자 jusbh@kwangju.co.kr
Copyright ©2019 팔도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지방신문협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1310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등록번호: | 발행인 : 박진오 | 편집인 : 박진오 | 전화번호 : 02-733-7228 Copyright ©2019 한국지방신문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