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군은 함안면 강명리사지에서 고려시대 금동불상이 출토됐다고 19일 밝혔다.
함안 강명리사지는 문화재청의 ‘2021년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4월부터 문화재청·함안군·(재)불교문화재연구소가 조사하고 있는 절터다.
지난 4월 실시된 시굴조사에서 강명리사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돼 고려시대를 중심시기로 운영된 것으로 추정됐고, 당시 출토된 명문기와를 통해 사찰명이 ‘의곡사(義谷寺)’임이 확인됐다.
지난 6월부터 진행된 정밀발굴조사 과정에서는 고려시대 금동불상이 출토됐다.

이번에 출토된 금동불상은 연화대좌를 갖춘 높이 8cm의 소형 불상으로, 의복과 손 모습 등의 형태가 잘 관찰된다. 불상 뒷면에는 작은 고리가 있어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를 꽂았던 흔적으로 추정된다.
또 불상 대좌의 좌·우측에서 연결흔이, 연화대좌 바닥에서 촉이 확인돼 제작 당시 삼존불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나 이번 발굴에서는 청동그릇 편과 함께 중심불상만 출토됐다.
함안군은 함안지역이 통일신라시대 지방의 불교 관련 업무를 담당한 승관직(僧官職)인 군통(郡統)이 파견된 곳으로, 한국 불교사 연구에 있어 그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곳이라는 입장이다.
함안군 관계자는 “강명리사지 연구를 위한 자료가 적은 상황에서 금동불상이 출토된 것은 매우 귀중한 성과”라며 “함안 불교문화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강명리사지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 조사는 올해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김명현 기자 mhkim@k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