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기 대선이 두 달 채 안 남은 시점에서 역대 캐스팅보트를 쥔 충청권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20대 대선 이후 비수도권 대부분 18세 이상 유권자 수가 줄어든 반면, 충청권은 수도권과 함께 해당 구간 인구 수가 증가하면서 전국 표심의 바로미터로 공고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충청권은 직전 대선에서 당시 윤석열·이재명 후보 간 득표율 차이가 한 자릿 수에 머무는 등 접전지로 꼽혔던 지역이다.
헌법재판소의 만장일치 대통령 파면 결정에 따라 야당에 유리한 구도가 그려지는 가운데, 충청이 균형발전과 사회통합이라는 국가적 과제 속 이번 조기 대선에서 어떤 전략적 선택에 나설지가 관전 포인트다.
7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에 따르면 올 3월 기준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 유권자 수는 476만 5702명이다. 3년 전 20대 대선 때 충청권 선거인 수(468만 2246명)와 비교해 8만 3456명 증가했다.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모두 해당 구간 인구 수가 증가한 결과다. 대전은 123만 2799명에서 124만 1471명으로 8672명 늘었고, 세종은 1만 7582명(28만 8866명→30만 6448), 충남은 4만 3104명(179만 5932명→183만 9036명), 충북은 1만 4098명(136만 4649명→137만 8747명) 각각 증가했다.
이는 비수도권 중 제주도와 함께 유일한 오름세다. 같은 기간 제주도는 56만 2461명에서 56만 3785명으로 1324명 늘었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은 2228만 3832명에서 32만 4135명 증가한 2260만 7967명으로 파악됐다.
반면 부산·울산·경남은 20대 대선 당시 유권자 666만 8497명에서 657만 4694명으로 9만 3803명 줄었고, 대구·경북 역시 431만 6280명에서 426만 1037명으로 5만 5243명 감소했다.
광주·전남·전북 등 호남권은 432만 1914명에서 5만 5335명 줄어든 426만 6579명으로 집계됐다. 강원도 이 기간 133만 3280명에서 132만 7847명으로 5433명 줄었다.
각종 선거에서 스윙보터 역할을 해 왔던 충청권인 만큼 유권자 증감 추이가 이번 대선에서 영향력을 얼마나 좌우할지가 변수다. 20대 대선 당시 영·호남 지역이 각각 여야에 두 자릿 수 득표율 차이를 안겼던 것과 달리 충청권은 수도권·제주도와 함께 한 자릿 수 차를 내놓은 바 있다.
물론 대통령 탄핵으로 차기 대선은 기울어진 운동장이란 관측이 팽배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대선 과정에서 선거 승패를 명확히 가르기 위한 정치권의 중원 공략은 기정사실화되는 한편, 본격적인 개헌 논의에 있어서도 충청권의 역할은 빼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탄핵정국으로 극단에 치달은 사회 분열을 통합하고, 수년째 공전 중인 지역균형발전을 일궈야 하는 시대적 과제 앞에 서 있는 만큼 충청이 선두에 서 민심의 가늠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박영득 충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충청권은 수도권과 접근성이 좋을뿐더러 다양한 일자리가 비교적 많아 타 지역 대비 경쟁력을 갖추고 있고, '세종 수도 이전' 또한 재추진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이번 조기 대선 국면에서 좋은 발전 기회를 갖추고 있다"며 "대선 과정에서 충청권을 중심으로 한 지역균형발전이 핵심 이슈로 부상하려면 관련 논쟁이 불붙고 정치권 안팎으로 공감대를 넓게 형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