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시지역 하수 처리난을 해결할 도두하수처리장 증설 공사에 대형 건설사들의 ‘무응찰 사태’가 벌어진 가운데 입찰조건을 변경, 빠르면 내년 하반기에 사업이 착수될 전망이다.
송재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갑)은 21일 좌남수 제주도의회 의장(더불어민주당·제주시 한경·추자면)과 고영권 제주도 정무부지사, 최철식 한국환경공단 환경시설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입찰조건 변경에 합의했다.
도두하수처리장 증설 공사는 1일 13만t의 하수처리 규모를 22만t으로 9t(69%)을 늘리게 되며 총 사업비는 3927억원이다.
사업 기본계획에 따라 입찰조건에는 공사비(3927억원)와 공사기간(57개월)을 명시했다.
그런데 첨단기술과 장비·인력을 보유한 국내 9개 대형 건설사들은 사업설명회 참여에도 불구, 지난 8월과 9월 진행된 두 차례의 공개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송재호 의원은 이날 제주도와 한국환경공단 간 협의를 통해 2025년 12월말 시운전을 해야 하는 지하 하수처리장 공사기간을 내년 하반기부터 57개월 이내로 고정하지 않고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기본계획 일부를 변경하기로 했다.
다만, 공사비는 3927억원으로 고정하되, 공사 진행 중 대형 암반 노출·자재 공급 차질 등 돌발변수와 민원 등이 발생, 설계·공법 변경 시에는 공사비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의 사전 심사와 승인을 거쳐 확정된 국비 사업에 대한 기본계획 변경은 절차가 까다롭지만, 송 의원의 중재로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입찰조건을 완화해 신속한 사업 추진에 나서기로 했다.
앞서 대형 건설사들은 도두하수처리장 내 협소한 부지에서 1일 13만t의 하수를 계속 처리하면서도 지하에 22만t을 증설하는 ‘무중단 공법’과 종합 시운전까지 해야 하는 턴키(일괄입찰) 방식의 공사를 기본계획에 따라 57개월 내에 끝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지하공사에 따른 암반 발파비용, 도서지역에 추가되는 공사자재 물류비, 부대시설 등으로 공사비 부족 문제를 제기해왔다.
일부 업체는 설계·시공·시운전의 일괄입찰이 아닌 하수처리 증설과 해양방류관(1.5㎞) 공사는 분리 발주해 줄 것을 요청했다.
송재호 의원은 “공사기간과 공사비는 물론 관급자재 구입과 부대시설 등 사업 전반에 대해 기본계획에 따라 입찰조건을 고정하면서 무응찰 사태가 발생했다”며 “기본계획에도 불구, 공사기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추가 공사비도 유연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합의를 이끌어 냈다”고 말했다.
좌남수 도의회 의장은 “이날 합의로 내년 5월에야 재개될 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증설) 입찰이 내년 3월에는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편 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증설 공사)은 하수량 증가에 따른 처리용량 한계와 시설 노후화로 인한 수질 기준 초과 및 악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
2019년 1월 광역 시·도별 공공인프라 사업과 관련, 기획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에 선정돼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았다.
2019년 9월 3248억원의 예산이 편성됐으나 암반 발파, 무중단 공법 시공, 낙찰자 설계비, 물가 인상 등이 반영돼 총사업비는 당초보다 679억원이 증가한 3927억원으로 증액됐다.

좌동철 기자 roots@jej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