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바이러스성 질병인 ‘럼피스킨병’(Lumpy Skin Disease)이 경기·강원·인천·충북·충남 등으로 확산하면서 한우와 젖소 등 65만 마리를 사육중인 1만 8000여 전남 축산 농가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럼피스킨병 발병 직후 전남도와 축산농가들은 곧바로 철저한 방역 태세를 갖췄지만, 닷새만에 확진 사례가 코앞인 전북에서 나오자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5일 전남도에 따르면 소 럼피스킨병이 지난 20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뒤, 이날 오전까지 모두 29건(충남 16건·경기 8건·인천 3건·강원 1건·충북 1건)의 확진 사례가 확인되는 등 이른바 ‘서해안 벨트’인 충남·경기·충북 지역·인천을 비롯해 강원 등으로도 확산하는 모양새다.
특히 전남과 인접한 전북 부안군 백산면 한우 농장(148두 사육)에서도 이날 오후 첫 럼피스킨병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서 전남 방역 당국과 축산농가는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전북도 동물위생시험소는 전날 해당 한우농가에서 기르던 소 1마리에 ‘피부 병변이 보인다’는 신고가 접수돼 럼피스킨병 자체 검사를 통해 양성을 확인,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상태다.
아직까지 정밀 검사 결과가 나오진 않았지만 만약 지리적으로 맞닿아 있는 전북에서도 럼프스킨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명되면 ‘호남 벨트’가 뚫리게 되면서 전국적 확산이 우려된다는 점에서 전남지역 축산농가들은 그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럼피스킨병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등 방역당국도 당분간 추가 발생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는데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국정감사장에서 “확진 사례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남도 등 방역 당국은 이에 따라 발생 지역이 아니더라도 조기 백신 접종을 추진토록 정부에 건의하고 사람과 가축의 이동을 철저히 통제하는 한편, 축산 시설물의 위생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는 등 빈틈없는 차단 방역에 힘써줄 것을 농가에 요청하고 있다.
전남도는 지난 20일 정부가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 수위인 ‘심각’ 단계로 높이자 우시장 15개를 모두 폐쇄한 데, 이어 25일에는 럼프스킨병 발생 시·도에서의 소 반입도 금지시켰다. 소 사육두수가 65만 마리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규모인 만큼 심각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바이러스가 지역 경계를 넘어오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빗장을 건 것이다.
전남도는 또 축산농가들이 참여하는 카카오톡 앱을 통해 예찰을 진행중이며. 이미 럼피스킨병이 발생한 농가와 이동 동선이 겹치는 등 역학 관계에 있는 전남지역 13개 시·군 39개 농장에 대해서는 도와 시·군이 직접 전화나 방문을 통해 사육중인 소 상태를 전수 점검하고 있다.
방역 당국은 아울러 지역 99개 공동방제단을 총동원해 소독차량(134대)으로 소 사육농장, 도축장, 사료공장 등을 집중 소독하고 22개 시·군에 거점소독시설을 24시간 운영하면서 축산 차량에 대한 소독을 진행중이다. 소 사육 농장주에 대해서는 농장 주변 물 웅덩이를 제거하고 해충약과 포충기를 사용해 해충을 방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우·젖소 등 소 사육농가(1만 8000가구)에 대해 임상증상이 있는지도 매일 전화 예찰을 실시하고 흡혈 파리, 모기 등 해충방제 및 의심축 발견 시 즉시 신고하도록 집중 안내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긴급방역비 9억 원을 투입해 소 사육농장에 해충구제 약품 및 소독약품 등을 지원해 소 럼피스킨병 발생 방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소 사육농장 관계자 간 모임 금지, 축제 등 행사장 방문 자제, 농장 출입 차량 및 사람의 출입통제, 농장 소독 등 차단방역을 강화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