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투기를 앞두고 해양수산부가 진행 중인 권역별 수산물 안전 현장 설명회가 14일 오후 통영시 봉평동 경상남도수산안전기술원에서 열렸다. 13일 부산 설명회에 이어 2번째 설명회다. 해수부는 서울, 강원도, 전남 등 권역별로 수산물 안전 현장 설명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날 설명회에는 멸치권현망수협과 수산업경영인, 자율관리어업공동체, 어촌계장협의회 관계자 등 지역 어업인들과 수산물 가공·유통업계 종사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해수부는 이날 설명회에서 후쿠시마 오염수가 4~5년 뒤 우리 해역 근처에 유입돼도 10년 뒤 삼중수소 농도가 0.001Bq/㎥로 국내 해역 평균 농도의 10만분의 1 수준으로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또 생산 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지난해 100품종 5441건에서 올해 전 품종 8000건으로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 수입부터 음식점 등 소매 단계까지 수입수산물 유통 이력을 추적하고, 원산지 의무표시제도 15개 품목에서 가리비, 멍게, 전복, 방어 등으로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따른 수산물 소비 위축을 걱정하는 어업인들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한 수산물 가공업체 관계자는 “정부 입장에서는 수산물 이력 등을 철저하게 관리한다고 하지만 어업인 입장에서는 당장 소비 위축으로 매출이 줄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이 없다. 각자도생해야 하는 것이냐”고 걱정했다.
어선어업에 종사하는 한 어업인은 “어종에 따라 잡아오는 해역이 다르다. 어선어업이 많은 통영의 경우, 방사능 검사장비 몇 대를 이용해 방사능 검사를 할 것인가? 수산물은 선도 유지가 급선무인데 걱정이다. 방사능 측정 장비를 어디까지 믿어야 하는지도 의문”이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어류 양식을 하고 있는 유철환씨는 “수산물 소비 위축으로 고기를 못 팔고 있다. 팔리지도 않는 가두리 고기를 유지하기 위해 사료비가 들어가야 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며 “안 팔린 고기들이 가두리에 들어차 있으니 치어를 넣을 수도 없다”고 토로했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다양한 정책 제안도 나왔다.
한 가두리양식 어업인은 “가두리 양식을 하는 어민 입장에서 소비 위축을 그야말로 실감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욱더 수산물 소비가 위축될 것이 불 보듯 뻔한데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가두리에 들어차 있는 고기에 대한 정부 수매가 급하다. 장기적으로 구조조정을 통한 소멸보상도 검토해 달라”고 요구했다.
멸치권현망수협 최필종 조합장은 “후쿠시마 공포가 확산되면서 수산물 소비가 위축되고 있다. 수매를 통해 어업인들이 생산한 멸치를 썩히지 않고, 제값 받고 정리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수산물 유통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한 어업인은 “근본적으로 방사능 유해요소 인증제가 필요하다”며 “방사능 유해요소 중점관리를 통해 방사능에 안전하다는 필증을 붙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굴 양식업계의 경우, 코로나 이후 버티다 망하는 업체들이 속출하고 있다”면서 “통영에서 위판되는 굴이 전국 소비량의 40~50%에 이른다. 굴 생산 해역에 대한 방사능을 검사한 뒤 안전하다는 필증을 발급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다른 어업인은 “해수부 설명대로라면 해역별 방사능 모니터링을 1년에 4차례 한다고 하는데 패류독소나 노로바이러스 모니터링처럼 1주일에 한 번꼴로 기간을 좁혀 달라”고 요구했다.
해수부 최현호 어업자원정책관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우리나라 해역의 해수와 수산물에 대해 실시한 방사능 모니터링에서 단 한 차례도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다”며 “(이는) 우리 해역과 수산물은 안전하다는 의미다. 국민들이 근거 없는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꼼꼼하게 관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