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신문) “진해만 입구 신항 건설 땐 바다 죽는다”

2023.02.23 09:38:21

방파제·준설토투기장 해양구조물 환경영향평가 본안 접수 앞두고
어업인·단체, 해양환경 악화 우려
“해류 소통 막혀 빈산소수괴 빈번 초안 부실 작성…공개검증 나서야”

진해만 입구에 해양구조물을 조성하는 진해신항 건설사업의 환경영향평가 본안 접수를 앞두고 진해만 어업인과 지역 환경단체가 해양 환경 악화에 대한 우려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은 진해신항 건설사업과 관련한 ‘부산항 진해신항 남방파제 및 남측방파호안 축조공사’, ‘부산항 진해신항 준설토투기장(3구역) 호안 축조공사’, ‘부산항 진해신항 제작장 조성 공사’ 환경영향평가 본안을 이르면 3~4월 중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접수할 계획이다. 본안이 접수되면 법적 처리 기한에 따라 접수일로부터 45일간 검토가 진행된다. 3개 공사 중 남방파제, 준설토투기장은 진해신항 부두건설에 앞서 외곽에 조성되는 해양구조물이다.

 

그러나 이 해양구조물로 인해 해양 환경 악화를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진해만의 경우 부산과 거제 사이에 있는 약 7㎞ 너비의 가덕수로가 해수 소통의 주요 입구다. 방파제의 경우 길이 3.2㎞, 준설토투기장의 경우 2.9㎞로 조성되는데, 진해만 입구 상당 부분을 막아 해수 소통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진해만에서 양식을 하는 어업인들은 진해만 입구에 해양구조물이 조성되면 해류 소통 저해로 빈산소수괴(산소부족 물덩어리) 발생이 빈번해져 어업 피해로 이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빈산소수괴는 해수 중에 녹아 있는 산소 농도가 3㎎/L 이하인 물 덩어리를 말한다. 해수 정체와 수온 상승 등이 주원인이 되며 해양에서 발생했을 때 움직이지 못하는 어패류나 저서생물을 폐사시킨다. 지난해 마산만에서 발생한 정어리 떼죽음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박문철 진해만굴어업인 대책위원장은 “유일하게 해수 소통을 이뤄주는 입구를 막아버리면 해수 흐름이 정체되는 것은 기정사실”이라며 “해수 흐름과 수온 등에 영향을 받는 빈산소수괴 발생이 지금보다 더 빈번해져 진해만이 ‘죽음의 바다’로 변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이들은 특히 양식 종목이 어패류가 위주인 만큼 빈산소수괴 발생과 피해가 직결된다고 우려했다. 현재 진해만에는 총 2088㏊ 면적에서 창원, 통영, 거제, 고성 어민들이 1721개 양식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

 

환경단체 또한 진해신항 건설이 해양 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줄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지욱철 경남환경운동연합 의장은 “국립수산과학원 또한 진해만에 날이 갈수록 빈산소수괴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있다”며 “원래도 폐쇄적인 진해만 입구가 막혀 더욱 폐쇄적으로 변한다면 진해만에 정어리 집단 폐사와 같은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피해를 호소하는 이들 어업인은 22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단체와 함께 진해신항 환경영향평가 공개 검증을 촉구하기도 했다. 진해만굴어업피해대책위, 진해만매립저지전국연대 등 단체는 “환경영향평가 초안에서 일부 조석 검증결과만 제시할 뿐, 해류 예측정확도와 수질변화 예측결과는 제시하지 않았다”며 “해수부는 진해만 전체에 영향이 갈 것으로 예측됨에도 사업대상지 주변 3㎞에 국한해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이어 “부실로 작성된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협의해 준 환경부를 믿을 수 없다”며 “진해만 입구를 영원히 틀어막는 대규모 항만 매립을 시민이 이해할 수 있도록 공개 검증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지난해 8월 16일 환경부의 진해신항 환경영향평가항목 결정 내용 의견 수렴을 통해 △공사를 누적영향 평가할 수 있도록 환경영향평가를 하나로 묶어서 평가할 것 △해양포유류를 포함한 해양보호생물 조사를 강화할 것 △가덕수로의 절반이 막히는 진해신항 준설토 투기장 3구역 사업에 대해 빈산소와 적조발생 증가가 예상되므로 필히 조사할 것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어태희 기자
Copyright ©2019 팔도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지방신문협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1310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등록번호: | 발행인 : 박진오 | 편집인 : 박진오 | 전화번호 : 02-733-7228 Copyright ©2019 한국지방신문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