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 추진을 공식화했다. 이번 추경은 영남권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복구와 함께 미국발 통상 리스크 대응, 민생 지원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30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현안 관련 경제관계장관 간담회에서 "정부는 시급한 현안 해결을 위해 신속하게 집행 가능한 사업만을 포함한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추경의 주요 분야로 △재난·재해 대응 △통상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을 제시했다.
최 부총리는 "산불로 약 4만 8000㏊에 달하는 산림 피해와 75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있었다"며 "피해 지역 주민들의 조속한 일상 복귀를 위한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신정부의 관세 부과 등 통상 리스크가 현실화되면서 주력 산업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며 "AI 등 첨단 산업 분야의 주도권 경쟁도 격화되고 있으며,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수출 둔화까지 겹치면서 서민과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위기 극복을 위해 국가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며 "기존 재원 활용을 넘어 신속한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내달 중 추경안이 국회를 통화할 수 있도록 여야의 초당적 협력을 요청했다.
그는 "산불 피해 극복과 민생, 대외 현안의 시급성을 고려하면 필수 추경은 속도감 있게 추진돼야 한다"며 "여야가 추경의 취지에 공감해 준다면 정부도 조속히 부처 협의를 마무리하고 추경안을 편성해 제출하겠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