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이 국방반도체사업단 출범과 함께 차세대 국방산업 핵심기지로의 도약을 노린다.
현재 국방반도체는 국내 생산이 1% 채 되지 않는다. 이 상황에서 대전은 연구개발부터 설계, 생산까지 국방반도체 시장을 개척, 지역 반도체산업 경쟁력을 넘어 새로운 기술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여기에 국방반도체 관련 기업 유치와 성장을 담보할 첨단국방산업단지의 조속한 조성은 풀어야 할 중대 과제 중 하나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소속 국방반도체사업단은 지난 20일 방위사업청 대전청사에서 개소식을 열고 공식 출범했다.
국방반도체사업단은 국내 무기체계에 사용되는 국방반도체의 99.2%가 미국과 대만 등 수입에 의존하는 만큼, 반도체 공급망이 멈췄을 때 무기를 자체 생산해낼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 출발했다.
사업단은 국방반도체 국산화를 목표로, 기술개발과 설계, 시제품 제작, 무기체계 적용 등 전 주기에 걸쳐 관리에 나선다. 무기체계 전문가와 반도체 전문가 간 협업으로 국방반도체 기술 자립과 국내 생산 역량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이 같은 사업단이 대전에 위치하면서 기대효과도 다양하다. 지역의 국방 반도체 경쟁력 강화와 전후방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등이다.
특히 대전은 방위사업청과 국방기술진흥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카이스트 내 나노종합기술원 등 방산기술 연구개발이 집적돼 있는 점이 강점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방반도체 기술개발에 나서는 만큼, 경남 창원과 경북 구미 등 방산혁신클러스터로 함께 선정된 타 방산도시와의 차별성도 확보했다.
다만 과제도 남아 있다.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선 안산 첨단국방융합클러스터 조기 조성 등 방산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한다.
현재 안산 산업단지는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가 지연되면서 조성 사업도 제동이 걸린 상태다. 산단 조성을 조속히 마쳐야 관련 기업 유치 등 국방반도체 산업 생태계 구축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지난해 3월 지정된 뒤 예비타당성 조사를 앞둔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도 제 속도를 내야 국방반도체 산업과의 연계·성장을 꾀할 수 있다.
각계 전문가 등 13명으로 출발한 사업단이 2027년까지 39명으로 구성된 국방반도체센터로 조직이 확대돼야 한다는 점, 1차 이전을 마친 방위사업청이 2028년까지 완전 이전을 마쳐야 한다는 점도 대전 K-방산수도 완성을 위한 숙제들이다.
시 관계자는 "대전이 국방반도체 시장의 시작점을 연 만큼, 국가산단 개발과 연계한 국방반도체 특화 산업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라며 "수도권 국방반도체 기업들이 자연스럽게 대전으로 오는 환경을 만들고, 지역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 또한 국방반도체 기업으로 전환하는 데 길을 열어주고 성장시키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