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일보) 새국면 맞은 광주공항 이전…‘불신’부터 걷어내라

  • 등록 2024.08.27 10:01:50
크게보기

전남도 “민간 노선부터 순차적으로” 광주시 “군공항 매듭 지어야”
무안 군민 반대 여론 잠재울 민간공항 우선 이전 등 방안 필요
정치권·시민사회단체 등 논의 활발…골든타임 연내 결론내야

최근 광주·전남 국회의원들과 시민사회단체, 경제계가 광주 군·민간 공항의 무안공항 이전을 위해 힘을 합치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는 가운데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도 광주시와 논의 자체를 거부하고 있는 무안군 설득에 나서는 등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만큼 올해가 군·민간공항 이전과 무안국제공항의 활성화를 위한 ‘골든 타임’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무안군과 무안군민 설득을 위해서라도 그동안 미뤄졌던 광주공항 국내선 중 제주노선부터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하는 등 광주시의 ‘통큰 결단’을 통한 현실적인 타협이 필요하다는 요구도 나오고 있다.

군 공항 이전 반대를 주장하는 무안군민 중 상당수가 광주시에서 민간공항을 존치시키고, 군 공항만 무안으로 이전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무안국제공항이 명실상부한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발돋움해야 무안군이 성장·발전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피시설만 넘겨받을 수 있다는 ‘불신’이 군공항 반대 여론으로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무안군이 국방부의 예비후보지 선정에 동의하거나 유치 의견을 표명해준다면 민간공항 이전은 당연한 것이라는 입장인 만큼 군공항 이전 후보지 선정에 앞서 민간공항 우선 이전 문제도 ‘뜨거운 감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전남도에 따르면 무안국제공항은 광주공항과의 통합을 전제로 2007년 11월 개항했으나 광주시는 민간공항 이전을 미루다 1년 뒤 광주~무안 고속도로가 개통되자 국제선만 넘겼다.

이후 광주공항은 국내선 전용으로 남아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에도 제주 이용객 급증에 따라 연간 200만명 안팎이 찾고 있다.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광주공항 이용객은 96만9000명, 무안국제공항은 20만6000명이다. 광주공항이 국내선을 계속 유지하면서 무안국제공항이 개항 17년이 지나도록 ‘무늬만 국제공항’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특히 2018년 8월 민선 7기 출범과 함께 당시 이용섭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가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협약서’에 서명하고 2021년까지 광주 민간공항 국내선을 무안으로 통합한다고 밝혔지만, 이 역시 이전 시기를 1년여 남긴 2020년 11월 광주시가 일방적으로 폐기했다.

광주시는 민간공항 이전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군공항 이전에 대한 논의의 진전이 없다는 이유를 댔다.

하지만 노선만 넘기면 되는 민간공항과 달리 군공항 이전을 위해서는 국방부 등 정부와 협의, 주민 동의 등의 별도의 절차가 있기 때문에 지역 차원에서만 진행할 수 없는 문제였다. 당시 광주시장이 지방선거를 의식해 반대 여론이 높은 민간공항 이전 약속을 저버렸다는 지적이 나왔고, 이후 광주시와 전남도·무안군과의 관계는 급속도로 얼어붙었다.

무안군에서 군 예산을 들여 군공항 이전 반대 운동에 나서기 시작한 것도 이 시점이다.

다행히 민선 8기 들어 강기정 광주시장이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전남도 역시 이를 뒷받침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무안국제공항을 국토 서남권의 거점공항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지역 내 여론도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광주·전남 국회의원들과 국민의힘 광주시당, 시민사회단체, 경제계가 광주 민간·군 공항의 무안공항 이전을 위해 힘을 합치면서 분위기도 호전되고 있다.

다만, 무안군과 군민들의 광주시에 대한 ‘불신’이 공항 통합이라는 대승적인 논의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무안군민들 역시 광주시가 먼저 실질적인 조치가 있어야 군공항 이전 등 후속 논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무안군에서 택시를 운전하는 정모(61)씨는 “광주가 민간공항을 보내려는 의지가 있는 것인지 솔직히 믿을 수가 없다”며 “민간공항이 실제 온다면 군공항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무안국제공항에 사람들이 북적거리면 지역 경제가 크게 살아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전남도 역시 광주시가 광주~제주 노선을 올해 말까지 이전하는 등 구체적이며 효과적인 조치에 나선다면, 군·민간공항 이전 절차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이정록 전남대 명예교수는 “기본적으로 조건 없이 광주시가 민간공항을 먼저 보내야 군공항이 갈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라며 “광주가 무안군민들의 마음을 사지 못했으며, 이는 역대 광주시장의 가장 큰 실책”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무안국제공항이 서남권의 허브 공항이 된다면 광주·전남이 하나가 되는 새로운 길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광주시 관계자는 “수원 군공항의 경우 예비후보지 선정이 됐음에도 7년째 답보상태다”면서 “예비후보지 선정 자체에도 무안군이 응하지 않고 있는 상황인데, 민간공항 우선 이전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 상황은 민간공항을 우선적으로 무안으로 이전하는 단계가 아닌 올해 말까지 군공항 이전 문제를 매듭 짓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면서 “군공항 무안 이전에 대한 확실한 결과물이 있어야만 민간공항 이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강기정 광주시장도 지난 20일 “지금 새만금공항 착공 속도가 붙은 만큼 광주군공항 이전과 무안통합공항 건설 문제는 올 연말까지가 골든타임”이라고 밝혔다.

윤현석기자 chadol@kwangju.co.kr
Copyright ©2019 팔도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지방신문협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1310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등록번호: | 발행인 : 박진오 | 편집인 : 박진오 | 전화번호 : 02-733-7228 Copyright ©2019 한국지방신문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