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일보) 충청권만 없는 국립 치과대학… 지역 정당 필요성 방증

  • 등록 2024.07.23 09:27:20
크게보기

[피우자, 충청 정당] ⑭
내륙 권역 중 유일하게 충청권만 국립치과대학 無
비수도권 유일 지역인재 전형 배제 '입시 역차별'
충남대 치대 신설 동력 이끌어야 "공공의료 기반 확충"

수십 년간 정치권에서 외면돼 온 충청권 국립 치과대학을 설립하기 위해선, 지역사회의 의지 결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내륙 권역 중 유일하게 국공립 치과대학이 전무한데도, 중앙은 물론 지역 정치권조차 충청권 치대 설립에 대해 제대로 된 논의나 문제 인식을 제기한 바 없다. 지역에서 숱하게 지적해 온 '충청 홀대'와 결을 같이 하는 듯 하면서도, 사실상 침묵 속에 묻혀 있던 현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충청 지역 정당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다.

현재 전국에서 운영 중인 치과대학은 총 11곳으로, 제주를 제외한 내륙권에서 치과대학이 단 한 곳도 없는 권역은 대전과 세종, 충북뿐이다. 충청권에 충남 단국대 천안캠퍼스 한 곳이 있긴 하지만, 호남권에 국립 치과대학 2곳 등 총 4곳의 치과대학이 있는 것과 비교하면 권역별 차이가 크다. 특히 단국대 천안캠퍼스는 사립인데다, 이마저도 수도권에 대학본부를 둔 캠퍼스여서 지역인재 선발 제도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충청권 대입 준비생들은 결국 비수도권 중 유일하게 지역인재 선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곧 충청권의 공공 의료서비스 질 약화와 지역인재 유출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로 이어진다.

내륙 권역 중 유일하게 국공립 치과대학이 전무한 탓에 공공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치과의사 수도 전국 하위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충남대학교에 따르면 대전지역 공공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의사는 총 7명으로, 전국 16개 시도 중 15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제주(9명) 보다도 낮은 수치다. 충청권역인 충남(26명·11위)과 충북(22명·12위)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충남대는 이진숙 전임 총장 임기 말이던 지난해 말 충대 치대 설립 추진을 공식화하며 첫 활시위를 당겼다. 지난해 11월에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 '충남대 치과대학·병원 설립요청서'를 제출하며 본격적인 돛을 올렸다. 보운캠퍼스에 5183㎡(1568평) 규모로 짓겠다는 복안이지만, 올 들어 촉발된 의정갈등과 신임 총장 취임, 충남대 최대 숙원인 '글로컬대학 30'에 밀리며 동력을 상실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무엇보다 지역 정치권의 무관심에 방점이 찍힌다.

대한치과의사협회가 당시 치과의사 과잉 공급 등을 이유로 반발한 데 이어, 지역 정치권에서도 의료계 공감대 형성 등을 이유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은 바 있다. 그나마 대전상공회의소가 정부 건의문을 통해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 대한 건강권 확보를 위해서라도 지역 거점 국립 치대·병원이 신설돼야 한다"며 공식적인 목소리를 냈을 뿐이다.

앞서 충남도에선 "국립의대와 국립대병원이 둘 다 없는 지역은 충남과 경북뿐"이라며 '충남 국립의대' 신설도 거듭 촉구했지만, 현재로선 공염불로 전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모양새다.

이같은 상황은 충청 기반 정당의 필요성을 방증한다.

충청의 정치적 텃밭을 이뤄 충청 권역의 필수·공공의료 기반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는 것이다. 지역 스스로가 추진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의대 설립 등의 문제는 정부를 상대로 한 지방 정부와 지역 정치권의 협력이 절실하다"며 "중앙 정치판에서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지역사회 공감대를 형성해 충청이 주체적으로 추진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인선기자 jis@daejonilbo.com
Copyright ©2019 팔도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지방신문협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1310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등록번호: | 발행인 : 박진오 | 편집인 : 박진오 | 전화번호 : 02-733-7228 Copyright ©2019 한국지방신문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