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을 살린다며 각종 지원과 혜택을 준다 하고 활성화 대책으로 청년몰이나 야시장 등을 운영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효과를 발휘한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성급한 추위까지 찾아와 그야말로 썰렁 그 자체입니다.”
전통시장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지난 11일 오후께 찾은 전주 모래내시장과 남부시장.
이날 최고 기온은 6도, 최저 기온은 영하 1도였다. 매서운 칼바람에 시장 상인·방문객 할 것 없이 모두 두꺼운 외투를 꺼내 입고도 꽁꽁 여민 모습이었다.
급격히 떨어진 기온에도 상인들은 준비해 온 농산물 등을 팔기 위해 방문객이 매대 앞을 지날 때마다 "싸게 드릴게요", "배추 사세요" 등 구입을 유도했다. 방문객들은 목적지까지 가기 위해 시장을 지나갈 뿐 구입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남부시장 야시장 상황도 비슷했다. 지난해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재개장했을 당시의 상황과 비교하면 한산한 수준이었다. 대부분 일찍부터 문을 열고 방문객 맞이에 분주했지만 붐비는 모습은 보기 어려웠다.
전통시장을 찾는 방문객의 발길이 줄어들면서 도내 전통시장 경기가 얼어붙었다. 경기 침체에 따른 심각한 소비 감소세를 이기지 못하고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1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전통시장 체감경기지수는 전월(9월) 대비 26.6p 하락한 51.7로 나타났다. 대전(-29.3p)·세종(-26.9p) 다음으로 큰 하락 폭을 보였다. 체감경기지수 역시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전남·세종(50.0p)에 이어 최저 수준이다.
가을 축제·김장철 등 계절적 요인에 따라 체감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와 명절 기저효과·추운 날씨 등 계절적 요인에 따라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통시장 경기 위축 상황이 반복되고 있지만 김장철 전통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도 있다. 전통시장 상인들은 본격적인 김장철(31.0%) 특수를 기대하고 있다. 도내 전통시장의 11월 전망경기지수는 95.8이다.
그러나 소비 감소·추운 날씨 등으로 김장철 특수가 제대로 살아나지 못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감소(41.5%), 날씨 등 계절적 요인(25.9%), 유동 인구·고객 감소(18.2%), 물가·금리 등의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9.2%) 등을 이유로 경기 악화를 예측하는 상인들도 적지 않았다.
지난달 전국 평균 전통시장 체감경기지수는 전월 대비 14.5p 하락한 60.2, 11월 평균 전망은 전월 대비 4.8p 상승한 91.1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