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일보) [사라지는 지방 막을 수 없나] 동네서도 문화·예술 쉽게 접하고 체험해야

  • 등록 2023.06.13 13:35:24
크게보기

<13> 문화공간 확충 시급
문화자본 격차는 삶의 질 격차
문화 불평등이 지방소멸의 요인
지역민들 선호와 취향 고려해
매력적인 공간 마련에 나서야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접하고 체험할 수 있는 작은 문화공간들이 동네마다 만들어져야 한다’

광주의 인구문제 해소와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방안을 묻는 질문에 대한 광주지역 문화예술인들과 애호가들의 하나같은 답변이다.

이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지원포럼)이 최근 문화예술인들과 애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드러났다. 지원포럼은 800여 명의 참여자 중 703명으로부터 유의미한 답변을 들었다. 분석 결과 ‘전시 및 공연 활성화’라는 응답이 2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작은 문화공간 조성’(23%), ‘체험형 문화 이벤트 확대’(12%), ‘홍보 활성화’(9%) 등이 뒤를 이었다.

초고령화 사회와 맞물려 우리 사회의 환경변화와 인식의 대전환이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특히 문화자본의 격차는 삶의 질 격차와 연계된다는 점에서 문화를 균등히 향유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국토연구원·한국리서치(2021년)가 발표한 ‘지역불평등 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인프라와 관련 문화·여가 시설 불평등이 가장 심하다’(45.2%)고 집계됐다. 그만큼 문화시설의 확충은 지역 활력은 물론 소멸을 예방하기 위한 선결 요건으로 꼽힌다.

아울러 지원포럼 설문 결과는 비단 아시아문화중심도시라는 특정 목표를 넘어 모든 지역이 골고루 잘 사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기도 하다.

그동안 광주는 정상급 뮤지컬, 오페라 등 대형 전문공연을 진행할 예술 공간이 없어 ‘문화도시’라는 수사가 무색했다. 다행히 광주시는 최근 ‘오페라 하우스’를 건립하는 데 필요한 예산, 절차, 기본계획 용역 등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다만 최적화된 ‘무대’ 건립에 나서는 건 긍정적이지만 향후 콘텐츠나 비용 등을 다각도로 검토해야 하는 과제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에 가지 않고도 책을 빌릴 수 있는 문화시설 가운데 하나가 스마트 도서관이다. 광주는 국공립도서관(2021년)이 24곳으로 전국 평균 69곳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자동화된 무인 도서대출·반납시스템인 스마트도서관은 도서관을 찾지 못하거나 부족한 지역에서는 일정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광주에는 지난 2017년부터 광산구 신창동 행정복지센터를 비롯해 총 24곳(동구 2곳, 서구 5곳, 남구 6곳, 북구 2곳, 광산구 9곳)이 운영 중이다.

문체부는 지난 2월 국비 25억원을 들여 전국 37개 시·군·구에 U-도서관 45곳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 동구와 서구, 북구에 각각 1곳이 추가로, 전남에는 기존에 설치됐던 나주와 영암에 추가로 3곳이 생긴다. 이밖에 고흥, 화순, 장흥에도 새롭게 설치될 예정이다.

아울러 전남이 진행하는 찾아가는 ‘찾아가는 영화관·문화공연’은 농어촌 주민을 위한 문화서비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지난 2010년 장흥을 시작으로 2016년 고흥, 2017년 진도·완도·곡성이 문을 열었다. 이어 보성(2019년), 영광·해남·담양(2021년), 영암(2022년) 개관했으며 신안을 비롯해 강진, 무안 등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섬이나 외진 시골 등 문화 소외지역 주민들을 찾아가 펼치는 ‘찾아가는 문화예술 공연’, ‘소외지역 찾아가는 예술공연’도 거주지와 상관없이 누구나 문화를 누릴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는다.

문체부는 지난 3월 ‘지방시대 지역문화정책 추진 전략’에서 지역에 관계없이 자유롭고 공정한 문화 향유 기회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일상 속 15분 문화생활권 조성’이 한 사례인데 지역 서점, 갤러리, 카페 등 근거리 민간시설을 활용해 누구나 동네에서 누릴 수 있는 문화공간이 되도록 하겠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지역민들의 선호와 취향 등을 고려한 매력적인 공간이 아니라면 자칫 생색내기 또는 전시용에 그칠 우려가 있다. 문화 공간이 문화 향유의 토대가 되는 만큼 문화와 예술, 관광 등이 복합적으로 연계된 문화시설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역 문화예술 관계자는 “지자체와 정치권, 중앙정부가 문화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하는 데 있어 매력적인 문화시설, 문화공간 확충에 초점을 맞췄으면 한다”며 “문화향유와 직결된 문화 자본이 다른 사회적 자본 못지않게 지방 소멸의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성천기자 skypark@kwangju.co.kr
Copyright ©2019 팔도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지방신문협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1310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등록번호: | 발행인 : 박진오 | 편집인 : 박진오 | 전화번호 : 02-733-7228 Copyright ©2019 한국지방신문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