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가 ‘머물다 가는’ 체류형 관광 활성화를 위한 명품 숙박시설 등 인프라 확충에 총력을 쏟고 있다.
8일 전남도에 따르면 신안 자은면 라마다프라자 & 씨원리조트가 오는 18일 부분 개장한다.
라마다프라자 & 씨원리조트는 신안 압해도와 암태도를 잇는 천사대교 개통(2019년 4월)으로 늘어나는 관광객들의 숙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시설로, 전남지역 기업인 ㈜지오그룹이 자은면 백길해수욕장 인근에 조성하고 있다.
지오그룹측은 지난 2019년 11월 3동 9층(객실 533실)규모로 착공했으며 우선 415실 규모로 준공해 6월까지 시범 숙박 등을 거친 뒤 7월부터 일반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정상 운영할 예정이다.
또 리조트를 중심으로 인근 54만㎡ 규모에 8300억원을 들여 휴양펜션단지, 전원 휴양시설, 마리나 등을 갖추고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등 세계 특화 거리를 조성해 자은 해양관광단지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무안공항과 KTX목포역에서 1시간 내 도착할 수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돼 수도권 관광객들의 방문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리조트 인근 ‘1004 뮤지엄파크’와 30분 거리에 ‘퍼플섬’ 등 매력적인 볼거리가 풍부하다.
전남도는 지난해 12월 기준 1만 631실이었던 명품 관광숙박시설을 2025년까지 1만 7617실로 확대하는 등 체류형 관광기반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 즐길거리를 갖추고도 열악한 숙박시설 등으로 체류형 관광객들의 외면을 받아왔던 예전과 달리, 진도 대명리조트를 비롯한 수준 높은 숙박시설이 잇따라 조성중이다.
현재 여수챌린지파크 등 관광단지 6개소가 조성중이고 광양 구봉산 관광단지, 고흥 예술랜드관광단지 등 5개 관광단지도 조성될 계획이다. 이렇게되면 호텔·리조트, 풀빌라 등 고급 숙박시설 6986실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전남도 관계자는 “라마다프라자 & 씨원리조트 자은도가 문을 열어 진도 대명리조트와 함께 전남 서남권의 중요한 체류형 관광기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청정·힐링·안심을 강점으로 하는 전남관광 기반을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8일 전남도에 따르면 신안 자은면 라마다프라자 & 씨원리조트가 오는 18일 부분 개장한다.
라마다프라자 & 씨원리조트는 신안 압해도와 암태도를 잇는 천사대교 개통(2019년 4월)으로 늘어나는 관광객들의 숙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시설로, 전남지역 기업인 ㈜지오그룹이 자은면 백길해수욕장 인근에 조성하고 있다.
지오그룹측은 지난 2019년 11월 3동 9층(객실 533실)규모로 착공했으며 우선 415실 규모로 준공해 6월까지 시범 숙박 등을 거친 뒤 7월부터 일반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정상 운영할 예정이다.
또 리조트를 중심으로 인근 54만㎡ 규모에 8300억원을 들여 휴양펜션단지, 전원 휴양시설, 마리나 등을 갖추고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등 세계 특화 거리를 조성해 자은 해양관광단지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무안공항과 KTX목포역에서 1시간 내 도착할 수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돼 수도권 관광객들의 방문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리조트 인근 ‘1004 뮤지엄파크’와 30분 거리에 ‘퍼플섬’ 등 매력적인 볼거리가 풍부하다.
전남도는 지난해 12월 기준 1만 631실이었던 명품 관광숙박시설을 2025년까지 1만 7617실로 확대하는 등 체류형 관광기반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 즐길거리를 갖추고도 열악한 숙박시설 등으로 체류형 관광객들의 외면을 받아왔던 예전과 달리, 진도 대명리조트를 비롯한 수준 높은 숙박시설이 잇따라 조성중이다.
현재 여수챌린지파크 등 관광단지 6개소가 조성중이고 광양 구봉산 관광단지, 고흥 예술랜드관광단지 등 5개 관광단지도 조성될 계획이다. 이렇게되면 호텔·리조트, 풀빌라 등 고급 숙박시설 6986실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전남도 관계자는 “라마다프라자 & 씨원리조트 자은도가 문을 열어 진도 대명리조트와 함께 전남 서남권의 중요한 체류형 관광기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청정·힐링·안심을 강점으로 하는 전남관광 기반을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