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 지방에서 빛낸 혁신…‘전북형 스마트공장’ 제조업 체질 바꿨다

  • 등록 2025.07.03 10:45:37
크게보기

시행 1년 만에 생산성 65%↑, 불량률 42%↓ 등 실질적 성과
삼성전자 출신 전문가 상주…장비 아닌 ‘공정 혁신’ 집중
수출 확대·청년고용 성과도…도 "전북 제조업 생태계 변화 지속할 것"

전북특별자치도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전북형 스마트 제조혁신 프로젝트’가 시행 1년 만에 눈에 띄는 성과를 내며 도내 중소 제조업의 체질 개선을 이끌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2일 완주군 ㈜골드밴 본사에서 ‘전북형 스마트 제조혁신 프로젝트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관영 지사, 김대중 전북도의회 경제산업건설위원회 위원장, 유희태 완주군수, 전세희 전북중기청장,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을 비롯해 도내 기업인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지난 1년간의 혁신 성과를 공유했다.


‘전북형 스마트공장’은 삼성전자 출신 전문가가 기업 현장에 상주하며 생산 동선 최적화, 공정 개선, 안전관리 강화 등 전반적인 제조 혁신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도가 주도하고 삼성전자가 협력하는 이 상생 모델은 공정 전환에 집중해, 지역 제조업의 내실을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사업에 참여한 70개 기업은 평균 생산성 65% 향상, 납기 단축 46%, 불량률 42% 감소, 원가 절감 17%의 성과를 냈다.

 

단순 수치 이상의 변화는 안전 분야에서도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현장의 중대재해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근로자 중심의 안전 설비 개선도 병행해 작업 환경의 질을 한층 끌어올렸다.

이날 보고회가 열린 ㈜골드밴은 대표 성공 사례기업으로 꼽힌다. 사출 공정의 생산 동선을 기존 210m에서 77m로 줄이고, 물류 적재 공간 155평을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군산의 금형제조기업 GSM이 문제 해결에 직접 참여해 지역 기업 간 상생 생태계의 좋은 본보기가 됐다.

 

이 같은 파급 효과는 국내외 판로 개척과 수출 성과로도 이어졌다. 진안의 토마토ENC는 손실률을 75% 줄인 데 이어 월 50만 개 규모의 납품계약을 체결했으며, 김제의 농업기업 ‘지평선 농부들’은 미국, 일본, 이탈리아 등과 총 200만 달러의 수출 성과를 달성했다.

 

전북도는 올해부터 물류·마케팅 전문가를 추가 투입하고, 제조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 지원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현직 환경안전 전문가들도 정기 방문하며 산업재해 예방 시스템 고도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김 지사는 “전북형 스마트공장은 단순한 디지털 전환이 아니라 제조, 유통, 경영 마인드를 바꾸는 변화의 시작”이라며 “혁신 성과가 전북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전략적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준서기자 imhendsome@naver.com
Copyright ©2019 팔도타임스. All rights reserved.

한국지방신문협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1310호 (태평로1가, 한국프레스센터) 등록번호: | 발행인 : 박진오 | 편집인 : 박진오 | 전화번호 : 02-733-7228 Copyright ©2019 한국지방신문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