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전주 역세권 개발에 편입된 토지소유주들로 구성된 대책위가 재산권 보장을 전제로 개발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사업이 정상추진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그러나 주민들의 양보로 전주의 관문이 새롭게 변화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전주시는 여전히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향후 추진에 진통이 예상된다.
토지 소유주들로 구성된 역세권 개발반대주민대책위는 17일 “재산권 보장을 전제로 (전주 역세권 개발은) 원론적으로 찬성한다”면서 “다만 공시지가가 낮게 형성돼 주민들의 보상가격에 피해를 받지 않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강제적인 수용이 아닌 협의가 보장되어야 하고 무엇보다 환지방식이나 부분적인 환지방식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책위 박병철 위원장은 “여기서 보상받고 나가면 집도 살 수 없는 서민들이다. 최소한의 재산권 보호는 해줘야 한다”며 “환지방식이나 혼합방식으로 변경해주면 협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마을 주민 100여 가구 전체의 동의를 받아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주민 뿐아니라 토지주들로 구성된 협의회와도 통합해 활동하고 있다.
사업자로 나선 LH는 주민들의 이런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겠다는 계획이다.
LH관계자는 “주민들이 요구하는 (환지방식의) 대토보상도 검토하고 있다”며 “주민들 입장에서 공정하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주민과 사업자간 협의의 물꼬가 터지면서 그동안 사업을 반대해온 전주시는 명분을 잃게 됐다.
그런데도 전주시는 도시의 팽창, 아파트 공급 포화 등의 이유를 들어 여전히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주민 반대도 있지만 도시 팽창이나 확장 등 전주시의 현재 상황에서 (역세권 개발은) 무리가 따른다”며 “아파트 공급이 포화상태인 점 등의 상황을 종합해 이번 개발 방안은 취소해 달라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고 말했다.
한편, LH는 전주역 뒤편 106만5500㎡를 개발하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민간임대아파트 3645세대와 공공임대 1613세대, 분양 2130세대, 단독 164세대를 조성해 노후하고 낙후된 역세권 개발을 도모할 계획이다.
김진만 기자
그러나 주민들의 양보로 전주의 관문이 새롭게 변화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전주시는 여전히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향후 추진에 진통이 예상된다.
토지 소유주들로 구성된 역세권 개발반대주민대책위는 17일 “재산권 보장을 전제로 (전주 역세권 개발은) 원론적으로 찬성한다”면서 “다만 공시지가가 낮게 형성돼 주민들의 보상가격에 피해를 받지 않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강제적인 수용이 아닌 협의가 보장되어야 하고 무엇보다 환지방식이나 부분적인 환지방식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책위 박병철 위원장은 “여기서 보상받고 나가면 집도 살 수 없는 서민들이다. 최소한의 재산권 보호는 해줘야 한다”며 “환지방식이나 혼합방식으로 변경해주면 협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마을 주민 100여 가구 전체의 동의를 받아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주민 뿐아니라 토지주들로 구성된 협의회와도 통합해 활동하고 있다.
사업자로 나선 LH는 주민들의 이런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겠다는 계획이다.
LH관계자는 “주민들이 요구하는 (환지방식의) 대토보상도 검토하고 있다”며 “주민들 입장에서 공정하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주민과 사업자간 협의의 물꼬가 터지면서 그동안 사업을 반대해온 전주시는 명분을 잃게 됐다.
그런데도 전주시는 도시의 팽창, 아파트 공급 포화 등의 이유를 들어 여전히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주민 반대도 있지만 도시 팽창이나 확장 등 전주시의 현재 상황에서 (역세권 개발은) 무리가 따른다”며 “아파트 공급이 포화상태인 점 등의 상황을 종합해 이번 개발 방안은 취소해 달라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고 말했다.
한편, LH는 전주역 뒤편 106만5500㎡를 개발하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민간임대아파트 3645세대와 공공임대 1613세대, 분양 2130세대, 단독 164세대를 조성해 노후하고 낙후된 역세권 개발을 도모할 계획이다.
김진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