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김해신공항 백지화 대세, ‘가덕신공항’ 보선 전 결론 나야”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28일 “(국토교통부의)김해공항 확장안이 (관문공항으로)안 된다는 건 (대세가)기울었다고 본다”면서 “가덕신공항으로 가기 위한 트랙을 빨리빨리 밟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덕신공항 문제가)선거와 연결돼선 안 될 것”이라며 가급적 내년 4월 부산시장 보궐선거 전에 결론이 나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변성완 부산시장 대행 밝혀

“가덕行 트랙 빨리 밟는 게 관건

입지 평가 이미 결론 난 사항

밀양 부지에 산단 조성 계획

더 이상 논의 대상 아니다”

 

변 권한대행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국무총리실 검증위원회의 결과 발표를 앞둔 김해신공항에 대해 “동남권 관문공항이 될 수 없다는 건 부산뿐만 아니라 경남과 울산도 다 같이 공유하는 생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문제는 김해공항 확장이 중단된다고 해도 가덕도라는 건 아직 결정된 게 아니라는 점”이라며 가덕신공항 결정 절차를 빨리 진행시키는 게 중요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변 권한대행이 김해공항 확장안의 백지화를 자신하는 데에는 최근 여권 핵심부에서 김해공항 확장에 대해 '관문공항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이전과는 기류가 현저하게 바뀌었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장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총리실 검증위의 '편향' 논란이 거세지자 직접 나서 "최종 결정은 정부가 하는 것"이라며 상황을 수습했고, 또 다른 유력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 역시 최근 "김해신공항은 확장성과 안전성에서 늘어나는 항공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며 가덕신공항을 공개 지지하기도 했다. 특히 '가덕신공항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 아니다'고 발언해 논란을 빚었던 정세균 국무총리도 최근 부산을 방문해 "부산·울산·경남 800만 시·도민들의 간절한 여망이 외면받지 않도록 최선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힌 것은 의미하는 바가 적지 않다는 게 지역 여권의 인식이다.

 

변 권한대행은 민주당 이낙연 대표 등 여권 핵심인사들이 가덕신공항을 지지하면서도 ‘법적 절차’를 강조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김해신공항 부적격 발표 이후)그다음 단계가 정해진 바 없기 때문에 절차 문제가 언급되는 것 같다”면서도 “방법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여권에서는 가덕신공항을 예비타당성면제 사업으로 국무회의에서 의결하거나, 당·정·청이 총력 추진 중인 지역균형뉴딜 사업에 이를 포함시키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변 권한대행은 가덕신공항 논의 단계에서 재론될 가능성이 높은 수요조사 등 입지 평가와 관련해선 “가덕도를 비롯해 동남권 관문공항 후보지에 대해 과거에 수요조사를 여러 차례 해서 입지를 가덕도와 밀양으로 압축하지 않았느냐”면서 “밀양은 이를 지지하던 대구·경북에 통합신공항이 확정됐고, 해당 부지에는 이미 경남도의 산업단지 조성 계획까지 만들어졌기 때문에 더 이상 논의 대상이 아니다”고 못 박았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부산 여야정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김해신공항 부적격 발표가 나면 가덕도든 어디든 동남권공항 여객 수요를 다시 산출해야 할 텐데 김해공항의 지난해 여객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 반면 통합신공항을 추진 중인 대구는 크게 증가했다”며 “시는 이런 상황에 대한 대책이 있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대구 통합신공항의 규모가 크지 않고, 김해공항과는 항공 수요의 성격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김해공항의 국외 수요를 잠식할 것이라는 우려는 크지 않다”고 말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많이 본 기사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