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강릉 7.0℃
  • 흐림서울 12.5℃
  • 흐림인천 10.9℃
  • 흐림원주 12.0℃
  • 흐림수원 11.4℃
  • 구름조금청주 14.0℃
  • 구름많음대전 12.6℃
  • 구름많음포항 10.7℃
  • 구름많음대구 11.5℃
  • 흐림전주 14.2℃
  • 흐림울산 10.9℃
  • 흐림창원 14.5℃
  • 흐림광주 16.7℃
  • 흐림부산 13.2℃
  • 흐림순천 12.0℃
  • 구름많음홍성(예) 9.1℃
  • 흐림제주 16.9℃
  • 흐림김해시 13.9℃
  • 구름많음구미 14.3℃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부산 근대 정신의 뿌리, 요산과 범어사를 다시 생각한다

‘김정한 사하촌 담론분석적 연구’

 

부산 근현대 사상의 주요한 축으로 ‘요산 김정한의 문학 정신’과 ‘범어사의 근대정신’을 연결할 필요성이 있다. 퇴계학부산연구원이 최근 출간한 〈퇴계학논총〉 제35집에 실린 ‘요산 김정한의 사하촌 담론분석적 연구’(오현석 부산대 강사)는 이에 대한 시사점을 준다.

 

‘사하촌’의 범어사 비판은 오해

근대 개혁 앞장선 ‘범어사 정신’

요산 문학은 당대 정신의 집약

“요산-범어사 연결점 재조명을”

 

‘요산’과 ‘범어사’는 이제껏 뭔가에 의해 가로막혀 있었다. 요산이 나고 자란 곳은 범어사 바로 밑으로 여기에 생가와 요산문학관이 있다. 그런데도 양자의 정신은 지금껏 속 시원히 접속되지 못했다. 오해의 단초는 있었다. 1936년 요산의 등단작 ‘사하촌’이 신문에 게재되자마자 ‘중들이 찾아와서 집에 불을 놓겠느니 어쩌느니 위협을 하고 돌아갔다는 것이다’(요산 회고). 당대 농민을 착취하는 작품 속 ‘보광사’가 곧바로 범어사로 여겨졌던 것이다. 1930년대에 실제 그랬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의 범어사, 나아가 범어사의 근본정신은 그게 아닌 것이다.

 

 

요산의 ‘사하촌’은 대단한 작품이었다. 1935년 카프 해체 이후 한국 문학의 새로운 출구를 낸 선구적인 작품으로 임화 백철을 비롯한 당대 기라성 같은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요산이 비판한 작품 속 보광사는 ‘선찰 대본산 범어사’가 아니라 ‘1930년대 변질된 불교’였다(오현석). 보광사 중들의 실체도 수행승이 아니라 소작농을 수탈하는 악덕 지주였다. 1911년 사찰령 이후 일제강점기 불교는 대처식육(帶妻食肉, 처를 거느리고 고기를 먹다)을 일삼고 토지를 수탈하던 ‘불교 탈을 쓴 거짓 불교’였다.

 

범어사 정신 또한 대단한 것이었다. 해방 이후 범어사는 한국 현대 불교사의 대표적 선승인 동산 스님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거짓 불교’를 배척하는 불교 정화 운동에 앞장섰다. 이미 근대기 범어사는 부산 근대정신과 교육의 요람으로 명정학교와 지방학림을 설립했다. 여기서 배출된 인재들이 동래 3·1운동의 큰 축을 이뤘다. 이 바탕에는 1900년 전후 범어사에 머물며 결사를 주도한 경허 선사의 높은 선풍이 자리 잡고 있다(채상식, ‘한말, 일제시기 범어사와 사회운동’). 근대 범어사 중흥조인 성월 스님이 3·1운동을 지원하고 상해임시정부에 거액의 독립운동 자금까지 댄 것은 범어사 정신의 연장선이다(강대민·이행구,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그런데 주목해야 할 것은 요산의 어린 시절은 이런 범어사적 자장 속에 있었다는 점이다. 요산은 11세 때 명정학교에 들어가자마자 3·1운동을 접했고, 신학문과 불교를 접한 것도 이 학교 2년간 생활에서였다. 범어사 정신과 요산 문학이 겹치는 이런 지점을 재발견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 근대정신의 큰 맥을 꿰어 나가고 연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부산 근대정신은 크게 보면 ‘동래’와 ‘부산(포)’ 2개 축으로 말할 수 있다(세부적으로 구포와 기장을 따로 얘기할 수도 있다). ‘부산’은 초량 부산진 영도, ‘동래’는 동래읍 범어사의 근대적 지향을 아우르는 것이다.

 

1920년대 부산에선 3·1운동이 만든 ‘문화 정치’ 판도 속에서 ‘부산’과 ‘동래’를 망라해 교육·사회 운동과 문예지 발간을 비롯한 근대적 지향들이 다양하게 분출한다. 요산 문학의 출발점이 여기에 있었다. 요산은 1920년대 중·후반 글쓰기를 시작하면서 ‘부산’과 ‘동래’의 당대 정신을 집약한 시대 문학으로 나아갔다. 요컨대 부산 근대가 요산 문학을 탄생시켰다는 것이다. 그것이 요산이 부산 근현대사에서 점하는 예술사적 위치다.

 

특히 요산의 글쓰기는 범어사 명정학교에서 배운 불교를 거대하게 녹였다. 작고한 비평가 김윤식은 “불교야말로 김정한 문학의 시발점이자 도달점”이라며 “요산은 커다란 불교적 설계도를 가지고 작품을 썼다”라고 했다. 요산 작품들에서 ‘지옥변’ ‘축생도’ ‘수라도’ ‘인간단지’는, 비록 ‘아귀도’와 ‘천상도’가 빠져 있으나, 작품 제목에서부터 육도윤회 사상의 큰 얼개를 드러내면서 녹여 낸 것이었다(‘추산당과 가야부인’).

 

요산의 이런 작품 설계와 불교적 경사는 민중의 고통이 윤회의 공덕을 입어 반복되지 않고 해소되기를 바라는 문학적·불교적 염원에서였다. 요산의 글쓰기는 이 세상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삼는 유마 거사적인 것이었던 셈이다. 이는 부산 문학의 뜨거운 광맥이기도 하다.

 

황국명 요산문학관 관장은 “부산 정신과 사상의 맥을 잡고 연관시킨다는 차원에서 범어사 정신과 요산의 문학 정신이 더 긴밀히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범어사와 금정구청, 부산시의 행보를 기대한다.

 

최학림 선임기자 theos@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