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전북일보) [전북문학관 지상강좌 - 한국문학의 메카, 전북] (27) 인도주의를 추구했던 권일송 시인의 삶과 문학

  • 등록 2020.07.31 12:49:46
권일송 시인(1933-1995)은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가잠(佳岑) 마을에서 태어났다. ‘가잠(佳岑)’이란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아름다운 봉우리’란 의미인데, 마을 뒤편에는 나지막한 봉우리가 이 마을을 포근하게 감싸고 있다. 이 마을은 안동 권씨들이 집성촌을 이루어 사는 마을이다. 마을의 위쪽 중앙에는 조선 철종 임금이 하사한 효열문이 서 있는 전형적인 반촌(班村)의 모습이다. 마을 앞쪽에는 옥천(玉川)이 섬진강으로 흘러가고 그 좌우에는 너른 들이 펼쳐져 있다.

시인은 어려서 손(孫)이 없는 천 석지기 부자인 큰아버지 댁의 양자가 되었다. 집안의 분위기는 따뜻했고 평화로웠으며, 특히 시인의 어머니는 늘 책을 손에 놓지 않고 독서에 열중하였다고 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시인이 평생 시인으로 산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시인은 순창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문학 활동의 상당 부분은 남도를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어려서부터 광주에서 성장하였고, 광주공고를 졸업한 후 전남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56년부터 1970년대까지 목포의 영흥고등학교와 문태고등학교에서 국어교사로 재직하였고, 이 지역 고등학생들의 문예반을 지도하면서 목포 문학 활성화에 이바지했다. 지금도 목포에서는 해마다 시인의 삶과 문학을 기리는 크고 작은 행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문단 활동의 상당 부분을 목포에서 했고, 이곳에서 많은 제자를 길러낸 만큼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다. 목포 유달산에는 ‘유달산공원조성기념비’가 있는데, 여기에 시인의 글이 새겨져 있다. 목포 사람들은 시인의 고향이 목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1957년 영흥고등학교 재직 중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불면(不眠)의 흉장(胸章)>이 당선되었고, 같은 해에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강변 이야기>가 당선되면서 시인은 문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당시 남도에서는 시인을 ‘신춘문예의 바람을 몰고 온 장본인’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1965년에는 《주간한국》에 장편서사시 <미처 못다 부른 노래>가 25회에 걸쳐 연재되기도 했다.

시인이 중앙무대에서 문단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1970년 10월부터다. 그 무렵 목포에서의 생활을 접고, 상경하여 한국문인협회 이사와 한국시인협회 중앙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76년에는 국제펜클럽한국본부 이사, 한국현대시인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1982년에는 《한국경제신문》에서 논설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91년에는 옥천향토문화사회연구소의 고문을 맡으면서 고향 순창의 향토문화 발굴과 진작에 애쓰다가 1995년 간경화로 세상을 떠났다.
 
시인은 이렇듯 화려하게 문단의 주목을 받으면서 많은 시집과 평론과 수필, 저서를 남겼다. 1966년의 첫 시집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한빛사) 이후 《도시의 화전민》(1969), 《벼랑과 눈물 사이》(1987), 《바다 위의 탱고》(1991) 등의 시집을 냈고, 평론으로는 《우리 시와 시대사황》(1986)이 있다. 또한, 저서로는 《한국 현대시의 이해》(국제출판사, 1981), 《윤동주 평전》(민예사, 1984) 등이 있으며, 수필집으로는 《한해지(旱害地)에서 온 편지》(현대문학사,1973)가 있다.

시인은 감상이나 연민을 배격하고 주지적 계열의 사회참여를 강조하는 시를 많이 썼다. 현실의 암담함과 부조리를 외면하지 않았고 인도주의 정신에 입각한 사회참여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경향은 그의 첫 시집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한빛사)에 실린 그의 대표시 <이 땅은 날을 술 마시게 한다>에도 엿볼 수 있다.

떠오르는 須臾의 햇빛 / 지는 노을의 징검다리 위에서 / 지나쳐 가는 그 온갖 것의 /點과 線의 거리와 眞實을 /허깨비 보듯 시린 눈으로 揚陸하면 // 정적은 비와 같이/ 背逆의 등을 쓸어 내리고 / 비에 젖는 共和國의 憲章 第 1 條 / 뜨겁게 뜨겁게 이즈러진 폐허의 조국 //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

-<이 땅은 나를 술 마시게 한다>의 일부

위 시는 시인이 처한 서글픈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제5공화국 시절의 암담한 현실이 나타나 있고, 이에 대한 저항과 고집도 비친다. 또 그와 관련된 일화에서도 이러한 시인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4.19 학생 시위가 있던 날이다. 신문사로부터 원고 청탁을 받았는데, 시인은 밤이 깊도록 책상 앞에 앉아 씨름했지만, 단 한 줄도 쓰지 못했다. 마감 시간이 다가오자 시인은 <무언의 항변(抗辯)>이라는 제목만 써서 원고를 보냈다. 이를 받아든 신문사는 매우 당황했지만, 시인의 고뇌를 읽어내고 그 제목만 있는 빈 여백으로 편집하여 신문을 발간했다. 그 뒤에 시인은 공안 담당자에게 쫓기는 신세가 되어 적지 않은 고생을 하였다.

시인이 단지 자연의 완상이나 사물을 새롭게 인식하는 것만으로 시인의 역할을 다 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어느 시인의 말씀처럼 “시인은 민중과 함께 민중의 울음을 울어주는 천한 곡비(哭婢)” 역할도 해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권일송 시인은 주목할 만하다. 그는 “학대받은 지성과 진실 앞에, 그리고 오늘의 몰락한 불구의 노래를 부른다”고 밝히면서 우리 사회의 암담함을 놓치지 않았다. 시인은 그와 동시대에 함께 활동했던 대부분의 시가 전통적이거나 자연 친화적인 경향에 기울었음에 비해 현실적이고 시사적인 사건들에서 소재를 포착하여 그것을 풍자 비판하는 주지적 시풍을 견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시인은 1960년 제6회 전남문학상을 받았고, 1983년 제1회 소청문학상, 1895년 현대시인상 등을 수상했다. 시인은 시에 대한 사랑이 남달랐다. 평생 400여 수를 암송한 김수남, 그리고 김춘수 시인과 함께 ‘11월 1일’을 ‘시의 날’로 제정하기도 했다. 시인의 사후 8년 뒤에 그가 어렸을 적 자주 오르내렸을 가잠(佳岑) 마을의 뒤쪽 남산대 귀래정 체육공원에 그의 시비가 세워졌다. 이 시비에는 그의 대표작 <반딧불>의 일부가 새겨져 있다. 생전에 광주와 목포, 서울을 떠도느라 바빴던 시인이 사후 고향의 품으로 돌아온 모습이 어쩌면 이 시의 중심소재인 ‘반딧불이’와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늘에게 가는 목숨이야 / 어디 날개 달린 새뿐이랴 // 모시 수건으로 정갈하게 닦아낸/ 쟁반위의 밤 하늘엔 // 반딧불로 어지러운/ 떠돌이의 고향이 보인다//

-<반딧불>의 일부

시인의 고향 마을 한가운데는 생가(生家)인 기와집 한 채가 덩그렇게 남아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시인의 형수 이기남 할머니가 이곳에서 순창의 전통 고추장을 만들었다고 한다. 시인의 6촌 동생 권문길 씨를 비롯한 종친들은 한 가지 아쉬움을 이야기했다. 주옥같은 시편을 남긴 시인의 시비가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귀래정 전망대 한쪽 구석에 있다는 것이다. 순창의 대표적 시인이면서 우리 문학사에 큰 발자국을 남긴 시인인 만큼 사람들이 많이 찾아오는 곳으로 시비가 이전되어야 한다고 했다.
 
시인의 고향 마을 앞에는 1992년 8월 2일에 세운 자그마한 정자가 있다. 바로 그 정자 안에 시인의 고향에 대한 추억과 향수를 담은 시 한 편이 걸려 있다.

그리운 가잠(佳岑)

바위보다 무겁고/풀잎보다 가볍다 /마침내 고향의 무게가 그런 것이고나 / 그리운 것들은 다 떠났어도/네 이름만은 여기 남는다.//눈 비비고 바라보는 그리운 산하/아비는 온종일 논을 갈고 /어미는 땀 밴 수수깡 밭에서/둥근 햇덩이를 줍던/아름답고 포근한 옛이야기들//천년을 버티는 푸르른 댓잎을 보아라 /마침내 흙 한 줌이 나의 뿌리였고나/ 여기 그리운 얼굴들이 다시 모여 /고개 숙여 마음을 속여/이별 없는 아침의 노래를 부른다.//

권일송 시인은 주로 광주와 목포, 그리고 서울에서 문학 활동을 하였기에, 전북 문단과의 교류는 그리 활발하지 못한 것 같다. 그런데도 우리 고장 순창에서 태어나서 이 땅의 시문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것은 전북 문학의 자랑과 긍지로 남을 것이다.

/송일섭 전라북도문학관 학예사